대부업계가 사상 최대의 대출 규모를 기록할 정도의 풍선효과가 나타난 셈이다.
13일 금융감독원과 대부업계에 따르면, 대출잔액이 있는 대부(중개)업체의 대출금액은 6월말 가집계 기준으로 8조5000억원에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 기준 7조5655억원보다 11% 정도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6조8158억원)보다는 19.8%나 높은 것으로, 대부업계의 대출금이 조사 이래 최고치인 9조원에 육박할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6월 기준, 금융권의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대부업체가 연 38%로 가장 높다.
은행은 5.8%,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는 각각 16.1%, 23.3%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감수하면서까지 대부업을 이용하는 셈이다.
1, 2금융권에서 대출받을 수 있는 고객들이 심사 등 조건이 까다로워지면서, 대부업으로 갈아타는 것이라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실제, 한국은행의 9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은행의 가계대출 규모는 6000억원에 불과했다.
한 달 전(2조5000억원)보다 1조9000억원이 줄어든 것이다.
제2금융권도 마찬가지다.
저축은행 사태 이후 금융당국의 칼날이 신협과 새마을금고로 향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의 높은 문턱에서 쫓겨난 서민들이 신협과 새마을금고로 발길을 돌리면서 두 기관의 가계대출 상승세가 계속되자, 금융당국이 압박하고 나선 것이다.
결국, 시중은행이 급증하는 가계대출을 잡기 위해 담보력이 취약한 저신용자의 대출을 줄이면서 나타난 '풍선효과'라 할 수 있다.
금융소비자단체 관계자는 “최근 금융권에 대한 당국의 대처는 졸속이다. 서민들만 궁지로 내몰리고 있다”며 “올 들어 유난히 금융당국과 금융권 간의 신경전으로, 각종 정책 집행 측면에서 손발이 맞지 않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