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총장은 지난 7일 오명 카이스트 이사장을 만나, 대학평의회 발족, 명예박사 학위수여 기준 제정, 카이스트 이사 선임절차 개선안 등 교수협이 요구하는 핵심 안건 처리를 위해 이사회 소집을 요청했다.
오명 이사장이 이사회 개최를 수용한 이면에는 국정감사에서 카이스트 이사회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잇따랐기 때문이라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김창경 교과부 차관의 카이스트 감사를 암시하는 발언도 서 총장을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
서 총장이 서명 날인 거짓말 논란 속에서도 애써 외면하려 했던 대학평의회 발족 등 3개의 안건은 이사진들과 직간접적인 이해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사 선임 절차가 가장 큰 이견을 보일 대목으로 꼽히고 있다.
카이스트 이사회 이사 선임은 이사회 추천과 선임 뒤 교육과학기술부의 승인으로 진행된다.
현재 이사 16명으로 구성되는 카이스트 이사회는 총장 포함 당연직 이사 4명을 제외한 12명 가운데 10명을 서 총장이 추천한다.
그러나 교수협은 교협이 이사를 추천할 수 있는 권한을 달라고 요구하면서 서 총장에 맞서고 있는 것이다.
이사회는 이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지난 8월 25일 이사회 때 논의를 다음으로 미룬 것이다.
교수협이 학내 이권 단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대학평의회에 이어 이사회까지 손을 뻗치는 모습을 이사회가 어떻게 보느냐가 관전 포인트다.
이사회에 앞서 이사회에 올라갈 서 총장의 초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초안 조율을 둘러싸고 적잖은 교수협과 마찰도 예상된다.
카이스트의 한 교수는 “서 총장이 교수협과 이사회 모두를 이해시킬 수 있는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하면 최악의 사태로 치닫을 수 밖에 없다”며 “학교 구성원과 충분한 논의를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