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호택 배재대 행정학과 교수, (사)한국공공행정연구원장 |
인류사회는 정착단계를 이루면서 문명을 발생시켰다. 인류농업은 화전농업에서 출발해 다양한 형태의 작물과 축산으로 발전했고,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시설재배를 도입했다.
최근에는 산업화와 함께 진행된 인구증가와 도시화, 환경오염, 기상이변 등 갈수록 악화되는 자연환경으로 인해 식량부족이라는 위기를 맞게 됐다.
농업이라 하면 전통적으로 농토가 있는 시골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이 되어왔으나 이제는 그 틀에서 벗어나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농업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도시농업에 참여하는 도시민들의 수가 급증하고, 도시농업의 유형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농업은 우선 도시민에게 신선한 농산물을 제공하는 산업형 농업이 있다. 식품안전성 문제가 빈번할수록 소비지에 인접한 도시지역이나 도시근교지역에서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높아진다. 또한 텃밭농원, 가정텃밭, 베란다, 옥상텃밭 등과 같은 체험형 농업이 있는데 소득이 높아지거나 여가시간이 늘어날수록 이러한 수요는 급증한다.
그리고 학생이나 여성들을 중심으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는 학습형 농업이 있는데 채소나 화훼 등 원예작물을 중심으로 그 재배과정을 통해 농업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생산자와의 교류도 확대되고 있다.
도시농업 속에는 다양한 가치와 기능이 존재하고 있다. 녹지공간 확보와 도시환경개선 등 공익적 기능, 일자리창출, 에너지절감 등 경제적 기능, 식량안보와 가족간 화합, 주변인과의 소통 등 사회적 기능, 교육장소 제공과 휴양공간제공, 여가활동 등 문화적 기능, 생태계복원과 기상재해예방 등 환경보전 기능 등 시민의 생활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다양한 순기능이 작용하고 있다.
대전을 비롯한 서울, 부산, 경기도 등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농업육성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여 도시농업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고, 국회에서도 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을 위해 공청회를 개최하고, 농림수산식품부에서도 법률제정 이후 세부 시행규칙과 운용방안에 대한 관계기관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도시농업을 둘러싸고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발맞추어 우리 대전에서는 타 도시보다 먼저 대전만의 도시농업의 비전을 만들어 추진했으면 한다. 올해 대전시에서 추진한 실버농원과 다둥이농원이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으며, 옥상텃밭, 주말농장, 상자텃밭 분양, 텃밭과정 교육 등 다양한 도시농업 사업으로 시민들에게 다가가는 행정을 펼치고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행정에서 추진하는 사업은 혜택을 받는 대상에 한계가 있기 마련으로 좀 더 다수의 시민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시청 앞이나 도심지내의 가능한 장소를 물색해 농작물 재배에 관한 것들을 보고 체험할 수 있는 농업공원이 그것이다.
시 외곽지역으로 가면 장소야 얼마든지 있을 테지만 가능하면 도심지내에 벼나 재래농산물을 재배해 시민들이 가까운 곳에서 보고,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농업공원을 만든다면 시민들은 옛 정취를 느낄 수 있어 좋고, 학생들에게는 자연학습의 연장으로 정서적으로나 교육적으로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도시농업은 높은 정책우선순위를 두고 추진되어야 할 사업으로 높은 행정의 가치를 갖는다.
농업은 인류가 멸망하지 않는 한 지속 가능한 생명산업이다. 처음 시작하는 도입단계에서부터 차근하게 준비한다면 대전이 도시농업운동의 메카로 부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명 시민들이 살맛나는 친환경생태도시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