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고령화 현상을 그저 21세기의 두드러진 특징으로만 간과하고 기다리기엔 예측되는 미래사회는 너무 암담하다. 노인인구 증가는 출산율 저하와 톱니처럼 맞물려 있으므로 동시적으로 다뤄야 한다. 상대적으로 한국사회의 고령화 속도를 추월하는 충청지역에서 보다 더 시급한 문제다.
이로 인한 생활난 가중과 신체적 기능 장애 등 건강 악화는 이번 조사 결과로도 나타났다. 노인단독세대 비중도 충청지역 모두 10년 전보다 4~5%씩이나 늘어나 한층 짙은 그늘을 드리운다. 노인은 급격한 사회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 생활수준이 열악해질 수밖에 때문이다.
또한 젊은 층이 급감하는 인구 구조의 변화는 경제 활력을 떨어뜨린다. 분석대로라면 2030년에는 대전은 3명, 충남과 충북은 2명의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노인 1명을 부양하게 되는 셈이다. 노후 보장을 둘러싼 세대간 또는 사회 갈등 첨예화가 미리 엿보이는 대목이다. 노동생산성 저하, 소비 및 투자 위축, 과도한 복지 부담으로 인한 재정수지 악화도 점쳐진다.
바로 이처럼 경제성장 둔화의 제반 요소를 고루 담고 있는 것이 고령화의 문제다. 사회적 인식 및 가치관 확립도 그래서 절실하다. 실례로 충청지역의 고령자 10명 중 6명은 자녀와 살고 싶지 않다고 응답했다. 자녀와 가족에 의한 사적 부양체계가 아닌 공적 부양체계, 즉 사회복지 부문의 변화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1983년 이래 합계출산율이 인구대체수준 이하로 떨어진 저출산의 고리부터 끊어야 할 것이다. 지적했듯이 고령사회, 초고령사회 진입 시계가 빨라지는 충청권이 더 그렇다. 이번 통계를 노인부양, 보건의료 등 전반에 걸쳐 빈틈없이 준비하라는 신호로 받아들여야겠다. 대비에 소홀하면 평균수명 증가가 재앙 또는 저주가 될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