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턱 높은 시중은행에서 내몰린 서민들이 신협과 새마을금고를 찾았지만, 금융당국은 가계대출이 급증했다는 이유로 압박작전에 나선 것이다.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저축은행 부실사태와도 무관치 않은 분위기다.
5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저축은행에 이어 신협과 새마을금고에 대한 금융감독 당국의 압박 행보가 시작됐다. 지난 4일 '이제, 신협과 새마을금고 차례'라는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발언이 나오자마자다.
신협은 전국에 957개 점포, 새마을금고는 3207개 점포를 운영하는 상호금융회사다. 점포수가 증가한데다, 2009년부터 비과세 예금한도가 3000만원으로 확대된 후 예금잔액이 빠르게 증가했다. 8월 말 현재 자산규모는 신협이 48조8000억원, 새마을금고가 91조1000억원이다.
자산이 증가한 주 요인이 일반 가계대출에 집중했기 때문이라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9년 이후 신협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60%, 새마을금고는 68%로 나타났다. 8월 말 현재 대출잔액도 신협이 30조원, 새마을금고가 50조원을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독 당국 관계자는 “자산운용 방식이 가계대출에 편중돼 가계신용 대란이 발생하면 부실이 우려된다”며 “이들의 부실채권 비율도 3%대 후반으로 시중은행의 배 이상 수준”이라고 말했다.
두 기관은 반발하고 있다.
신협과 새마을금고 이용자는 대부분 대출조건 등이 까다로운 시중은행에서 '문전박대'를 당한 서민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시중은행이 문턱을 낮추지 않는 한 신협과 새마을금고를 향한 서민들의 발길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모 신협 관계자는 “서민 대출을 확대하라고 할 때는 언제고, 또다시 방침을 선회하는 등의 임시방편으로는 사태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책에 따른 풍선효과가 나타나는 건 불가피할 수 있지만, 신협과 새마을금고의 불만도 일리가 있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