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흔들리는 원도심 상권
2. (르포)공공기관 빠져나간원도심 지금은…
3. 겉도는 도청사 활용안
4. 대전시 활성화 사업도 표류중
5. 도청 부지비용, 특별법 제정 정치권 나서야
6. 각계 전문가 의견
내년 말 충남도청 이전에 따라 원도심 공동화를 막기 위한 필수 대책인 '도청사 부지 활용방안'은 선거철만 되면 뜨거운 감자로 이슈화되긴 했으나 마땅한 대책 없이 겉돌고 있다.
최근 4년 동안 무려 세 번씩이나 바뀌었고, 앞으로 선거과정에서 또다시 변경될 소지도 다분하다. 이에 따라 이 문제의 당사자인 대전시가 보다 적극적인 추진의지를 갖고 '도청사 활용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2008년 8월 광화문에 현대사박물관 건립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당시 문화부에선 충남도청사 활용방안으로 국립시설 불가 방침을 내렸다. 때문에 대전시도 사업방향을 국립박물관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 변경·수정했다.
민선 4기 시절인 2009년 1월 박성효 전 대전시장은 당시 유인촌 문화부 장관을 면담하고 '퐁피두센터'등 복합문화공간의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면서 지원 약속을 받아냈다.
시는 이를 토대로 같은 해 2월 '충남도청을 활용한 국립박물관 등 복합문화공간 조성 기본연구 학술용역'을 추진했다.
하지만, 민선 4기에서 민선 5기로 넘어오면서 도청사 활용방안은 또다시 변경되는 상황을 맞았다.이후 지난해 6·2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민선 5기 염홍철 대전시장은 '한밭문화예술 복합단지 조성' 공약을 내걸고 본격 추진에 나서고 있지만, 지역주민들은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회의적인 반응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역시 지난해 '충남도청 이전과 발전방안'이라는 용역 결과를 내놨지만, 활용방안이 원론적 수준에 머물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처럼, 2007년부터 현재까지 세 번씩이나 바뀐 '도청사 활용방안'은 선거철 이슈로 부각되긴 했으나 뚜렷한 내용 없이 흐지부지되고 있다.
소극적 행정 보이는 대전시= 대전시는 지난 2월 1억3000만원을 들여 대전발전연구원에 '한밭문화예술 복합단지 조성을 위한 용역'을 맡겼다. 사업계획을 보면, 중구 충남도청사 부지 4만920㎡(충남경찰청 포함)에 총 사업비 7200억원(부지매입비 1200억원)을 투입, 향토박물관과 공연장 및 야외집회장, 대학교양 과정 캠퍼스, 창작발표회장, 상업적 부대시설, 테마잔디공원 등을 조성하는 것으로 돼 있다.
'한밭문화예술 복합단지 조성' 사업은 염 시장 임기가 끝난 후인 2017년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현재 진척률은 5%에 그치고 있다.
시는 현재 다음 달로 예정된 용역 결과가 나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는 형국이다. 1200억원에 달하는 부지매입비 확보 등 국비 지원이 불가피하지만 먼저 나서는 것은 전술상 불리하다는 판단에서다.
그렇다고 조속한 해결책을 바라는 지역주민들의 요구를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진퇴양난'에 빠져 있다. 또 지역정치권도 선거 때 반짝 이슈로만 제기할 뿐 누구하나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 심지어 제대로 된 논의조차 없는 실정이다.
내년에는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두고 있다. '도청사 활용방안'이 어떻게 추진될지 지역주민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시가 이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로 지역정치권과 협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시 관계자는 “충남도청 건물이 문화재여서 문화재 관련 컨셉트를 기본구상으로 잡고 추진 중”이라며 “내달 용역 결과가 나오기 전에 시민공청회와 각계 의견수렴을 통한 발전방안을 강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태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