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경식 대전시의회 의원 |
문화격차 현상은 문화에 대한 공공 지원에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게 되는데, 문화에 대한 공공 지원이 공급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문화향수의 격차가 체계적으로 발생한다면, 공공 지원은 문화를 적극적으로 향수하는 층에게로 문화자원의 역진적인 재분배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문화격차는 두가지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데, 한 측면에서는 사회계층적인 속성에 따라 문화를 향수하는 수준이 차이가 나는 문화격차다. 이러한 것은 사회 계층화의 결과로서 문화격차를 볼 수 있다. 즉 수입이나 교육 등의 사회적인 요인에 의해 문화향수가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 불평등 문제는 사회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
다른 한 측면에서는 문화를 향수하는 양상이 사회적인 과정의 결과로서 계층화된 특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집단 간의 문화향수의 차이가 사회적으로 위계화되어 계층적인 특성을 띤다면 문화적인 차원에서 갈등이 초래되고, 더 나아가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문화에 대한 공공 지원을 전제로 하는 문화정책은 보편적인 차원에서 시민들의 문화향수 수준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기에 문화격차 현상은 이러한 정책적인 목적을 훼손할 수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서울과 지방의 문화적 불균형 등 문화환경에 있어서 지역 간 격차 해소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고, 지역발전의 원동력으로서 지역문화의 체계적인 진흥 필요성에 대해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되어 왔다.
서울과 지방,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 해소도 중요한 사항이나 동일 지방자치단체 안에서도 지역 및 계층 간 문화격차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대전시의 경우 둔산신도심이 개발되면서 주요 공공기관이 옮겨가고 대단위 주거단지가 새롭게 형성되면서 원도심에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둔산에 이어 유성, 노은이 개발되면서 둔산·유성·노은은 새로운 문화형성지역 으로 원도심인 중구·동구·대덕구는 문화공동화지역이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 대전시는 중구·동구·대덕구는 원도심 문화권으로, 서구·유성구는 신도심 문화권으로 묶여 대전이 동서문화권으로 나뉘게 됨에 따라 동서 문화권은 문화인프라 측면에서 비교되면서 문화격차가 지역사회 쟁점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한 지역의 문화창달은 그 지역의 역사성과 문화적 특수성을 파악하여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면서 지역문화소외계층이 많은 문화소외지역을 중심으로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고 문화예술을 진흥시키고 문화산업을 발전시키는 과정이다.
문화격차 해소의 문제는 문화소외계층과 소외지역에 거주하는 시민에게 균등한 문화 향유기회를 제공하며 균형발전을 통한 문화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시책과 지원방안이 가장 핵심적인 과제일 것이다. 지금은 경제발전이나 소득증가만으로 잘사는 사회를 논하던 시대가 지나고 문화와 어우러진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경쟁력이 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고 있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사회는 지식과 감성에 기초한 창조적 문화생산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한 도시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려면 시민 모두가 일상의 삶 속에서 창조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이제 시민 개개인이 행복하고 창의력 넘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문화예술 활동의 양적 확대에 상응하는 내실을 다지면서 대전 문화 창달 및 문화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찾아보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대전시의 지역간·계층간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문화진흥을 위하여 '대전시 문화격차 해소 및 진흥조례'의 제정을 통하여 문화향유 취약지역 및 계층을 우선 고려하여 균형 잡힌 문화향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