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올해 초 대전의 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B(27)씨는 중소기업에 취업을 안하고, 실업자를 택했다고 한다. 시간을 더 투자해서 자신이 원하는 직장(대기업)에 취업하겠다는 생각에서다. B씨는 “대학시절 공무원 시험 준비를 했다가, 졸업하면서 대기업 취업을 목표로 잡았다”면서 “장기적인 경기불황으로 대기업 정규직의 취업문이 갈수록 좁아지고 있지만, 도전해 보겠다”고 말했다.
청년실업자를 포함한 국내 실업자가 100만명에 육박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서도 구인ㆍ구직자들의 고용 불일치가 발생해 해소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13일 충청지방통계청 및 대전시 등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대전지역 실업자는 2만4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00명(5.4%)이 감소했고, 실업률도 3.2%로 0.3%p 하락했다.
2분기 연령계층별 실업률은 60세 이상에서 0.9%p가 상승했고, 30~59세 0.3%p, 15~29세는 0.7%p가 각각 하락한 가운데, 15~29세 청년 계층의 실업률은 7.1%로 전 연령 평균(3.2%)의 2배가 넘었다.
대전시의 올해 상반기 일자리 창출 사업의 경우 취약계층 일자리 8609개, 기업 및 투자유치 분야 4222개, 대전형일자리 및 기반시설분야 2587개, 대규모 국책사업 830개, 청년 일자리 538개 등이다.
직종별로 정규직은 3091개, 임시직은 8185개, 일용직은 5510개 등으로 전체 1만6786개 일자리 가운데 정규직을 제외한 직종이 81.6%로 대부분이다.
결국 구직자들이 희망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상황으로,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전문가들은 대기업 유치와 특화산업 육성, 맞춤형 인재 양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안기돈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전을 비롯한 전국적인 시장구조를 볼 때 비정규직은 갈수록 늘고 정규직은 감소하고 있으며, 대학생은 늘고 기업 채용인원은 감소하고 있어, 고용시장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면서 “학교와 지역 기업들의 연계를 통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한 관계자는 “지역의 경우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인력을 구하기 어렵다”면서 “고용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 등을 파악한 지자체의 효율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전규 기자 jkpar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