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의정비 인상, 주민 뜻 들어봤나

  • 오피니언
  • 사설

[사설]의정비 인상, 주민 뜻 들어봤나

  • 승인 2011-09-08 18:48
  • 신문게재 2011-09-09 21면
대전시 기초의회가 내년도 의정비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의정비를 수년 간 동결해 올릴 시점이 됐고 현재의 의정비가 행정안전부의 가이드라인보다 적다는 게 추진 이유다. 그러나 의원들의 의정비 인상 움직임을 보는 시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동구와 유성구, 대덕구 의회가 의정비 조정요청서를 각 구청에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의정비심사위원회를 열어달라는 것으로 사실상 인상 요구나 다름없다. 의회는 심사위가 구성되기 전 자체적으로 공무원 보수 인상률이나 물가, 주민 여론 등을 감안해 인상 여부와 인상 폭을 미리 조율해 지자체에 요구하는 게 관례다. 인상과 관련해 주민들의 의견을 물어봤는지 궁금하다.

대전지역 5개 자치구의 재정자립도는 평균 20.8%로 특·광역시 평균을 훨씬 밑돈다. 그나마 갈수록 하락하고 있는데다 일부는 인건비조차 충당하기 버거운 상태다. 열악한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아는 기초의회 의원들의 의정비 인상 추진은 지자체의 예산 집행을 엄격히 지도·감시해야 할 책무를 저버리는 이기주의 행태라는 비판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행안부 가이드라인이란 것도 반드시 지켜야 하는 법이 아니다.

게다가 천정부지로 치솟는 물가에 서민들은 아우성이다. 추석 차례상을 준비하면서 “이런 추석은 처음”이라는 주민들의 탄식을 의원들은 듣지 못하는가. 한 번 오르면 내려가지 않는 물가의 속성상 지금의 고통은 길어질 것이다. 이런 마당에 명색이 지역민의 대표라는 기초의회가 의정비 인상을 주장하고 나서는 것은 모양새가 아니다.

의정비 인상으로 의정활동의 질이 제고돼 주민의 삶이 향상된다면 또 모른다. 그렇게 할 자신이 있다는 것인가. 주민들이 의정비 인상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것은 의회가 제 구실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집행부 견제라는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했느냐고 묻는 것이다. 의정비 인상을 요구하기에 앞서 얼마나 성실하게 의정활동을 했는지 스스로 돌아보기 바란다.

홍성군과 예산군의회는 의정비를 동결했다. 벌써 각각 5년째, 3년째 동결이다. 물가대란에 따른 군민의 고통을 의회도 함께 나누겠다고 밝히고 있다. 대전의 기초의원들도 그래야 마땅하다. 기초의회 스스로 이번 의정비 인상 추진을 거둬들이는 게 옳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5.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1.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2.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3.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