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대학교 연구교수
|
2011년 현재 세계기록유산은 전 세계적으로 238건이 등재되었고 그 가운데 우리나라는 총 9건을 등재하였다.
유네스코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할 수 있는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나라 문화의 경계를 넘어 세계의 역사에 중요한 영향력을 끼쳐 세계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 둘째, 인류 역사의 특정한 시점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 셋째, 세계 역사와 문화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던 특정 장소와 지역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 넷째, 전 세계 역사와 문화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인물 및 인물들의 삶과 업적에 관련된 기록유산 다섯째, 세계역사와 문화의 중요한 주제를 현저하게 다룬 자료 여섯째, 형태에 있어서 향후 기록문화의 중요한 표본이 되는 자료 일곱째, 민족 문화를 초월하는 사회적, 문화적 또는 정신적으로 두드러진 가치가 있는 자료 등이다.
따라서 한국의 계보자료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위의 조건중 하나 이상이 충족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의 계보자료는 2가지 측면에서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계보자료가 세계역사와 문화의 중요한 주제를 현저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민족 문화를 초월하는 사회적·문화적 또는 정신적으로 두드러진 가치가 있는 자료라는 점이다.
우리나라 계보자료의 하나인 족보는 가계의 계통과 혈통을 대체로 시조로부터 족보가 간행되는 시점까지의 모든 자손을 수록한다. 족보에는 개개인에 대해 성명, 생졸년, 과환(科宦), 출계와 입양, 배우자 및 그의 사조(四祖:부, 조, 증조, 외조) 등 전기사항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서발(序跋), 기(記) 또는 지(誌), 항열표(行列表), 분파도(分派圖) 등을 수록해 친족이나 문중 및 종중과 관련된 역사와 문화 등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사실은 족보가 인류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 그 자체를 기록하는 본질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다. 특히 족보는 수록된 사람의 간략한 생애와 그를 중심으로 가족, 친족, 문중, 종중 등 혈연적인 사회적 관계망의 확대를 이해 할 수 있는 자료인 것이다. 이를 학문적으로 본다면 생애사, 인구사, 가족제도, 계보학, 생활사, 인류학(가족, 문중, 종중의 역사와 문화), 서지학 등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인 셈이다.
즉 가문에는 가첩(家牒), 가승(家乘), 세계도(世系圖), 내외보(內外譜), 외보(外譜), 인아보, 팔고조도(八高祖圖) 등 여러 형태의 계보기록이 존재한다. 또한 조선왕실에서는 사가족보와 편찬체제나 수록방식이 완전히 다른 다양한 형태의 왕실족보를 편찬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에는 특정 집단들의 계보를 모은 문보(文譜), 무보(武譜), 음보(蔭譜), 진신보(搢紳譜), 역과보(譯科譜), 남보(南譜), 북보(北譜), 향보(鄕譜) 등도 활발히 편간되었고, 조선을 대표하는 여러 가문의 계보를 하나의 책으로 묶은 만성보(萬姓譜) 등도 유행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은 우리나라 계보자료의 다양성과 조선시대 특정 집단을 이해할 수 있는 것 들이다. 이 가운데 남보와 북보 등은 조선후기 붕당으로 발생하게 된 남인과 북인에 속하였던 각 가문들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당쟁사 연구의 자료가 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계보자료를 통해 우리는 조선후기 사회와 정치 및 문화적 현상들을 이해 할 수 있다.
이상의 언급에서처럼 족보가 갖는 가치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가치가 충분하다 하겠다. 그리고 계보기록은 중국을 비롯한 한국과 일본 등은 물론 서구에도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인류 보편적인 문화의 하나이다. 그 가운데서도 우리의 가계기록은 각 가계의 계통과 혈통을 세부적으로 기록했다는 점과 조선만의 독특하고 다양한 계보 자료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가 현재 진행형으로 15세기초에 족보가 초간된이후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이어지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문화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그럼에도 조선 전기이래 각 가문에서 간행된 다종 다량의 옛족보들은 망실 등으로 점차 희소해 지고 있다. 따라서 옛족보 즉 구보(舊譜)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과 정리를 통한 보존관리와 연구가 필요하다.
그 일환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계보기록을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받는 것도 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