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규 충남발전연구원 연구실장은 22일자로 내놓은 '충남도 정보화마을 활성화 방안 연구'에서 “변화를 모색할 때”라고 지적했다. 농수산물의 특성상 생산, 보관, 운송 등 전자상거래에 부적합한 특산물이 많은 데다 전자상거래 등을 돕기 위해 설립한 마을주민센터도 지원인력 부족 등으로 제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정보화마을 간에 양극화가 심화되는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2001년 시작된 정보화마을 사업은 농어촌의 정보화 소외지역을 없앨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과 함께 과연 실효성이 있겠느냐는 우려가 처음부터 제기됐다. 정보화에 대한 농어촌 주민의 인식이 부족한 마당에 세금을 들여 마련한 컴퓨터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이 많았다. 또 시행 과정에서 수요 조사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대상 지역을 주먹구구식으로 선정했다는 의심도 따랐다. 물론 그간 전자상거래 등으로 성공으로 이끈 '스타' 마을도 적지 않다. 하지만 성 실장의 연구 내용을 보면 20년 전의 문제가 지금껏 조금도 개선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제부터는 사업 전반을 정밀 점검해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바란다. 정보화교육을 맡고 있는 마을프로그램 관리자들의 이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근무여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귀담아 들을 만하다. 농어촌 주민들의 관심은 단순히 농어촌 정보화에 있지 않다. 농수산물 판매나 체험 마을 등 소득 증대 쪽에 더 쏠려 있는 상황이다.
성 실장은 성공 마을의 비결로 마을의 역량과 주민들의 의지를 꼽았다. 맞는 말이다. 여기엔 지역 일선에서 정보화마을의 성공을 위해 열심히 뛰어준 지자체 담당 공무원들의 열정과 땀이 있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정보화마을 재점검을 통해 운영을 보다 내실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