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규 충남발전연구원(충발연) 연구실장은 충발연이 22일자로 발간한 '충남도 정보화마을 활성화 방안 연구(충남리포트 57호)'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성 실장은 “농수산물의 특성 상 생산시기, 보관, 운송 등 전자상거래에 부적합한 특산물이 상당하고, 주민들의 상거래 인식 부족으로 사업 초기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성급하게 포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성 실장은 또 “정보화 마을 사업 추진 과정에서 획일적 정보화 교육, 노후화된 PC와 정보화 인식 부족, 정보화마을 간 양극화 심화 등의 문제가 제기돼 서둘러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아울러 “정보화마을 활성화를 위해선 마을운영위와 마을정보센터의 효율적 운영이 반드시 필요한데 생업에 종사하며, 마을운영을 이끌어야 하는 문제를 비롯해 불신과 갈등 발생 소지가 많은 데다 마을 자체적으로 센터운영비를 마련해야 하는 등 사업 운영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도 꼬집었다.
성 실장은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선 농촌의 현실을 반영해 일상근무시간 이외에도 정보화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마을프로그램관리자(정보화교육 등 담당)의 특근제 및 탄력근무제를 적용하거나 이직을 최소화하기 위한 근무여건 개선이 시급하다”며 “각 마을별로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 개발과 홍보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특히 “사업이 점차 정보 격차 해소보다는 전자상거래 등 소득 증대 차원으로 변화하는 추세에 맞춰 정부가 시행하는 '녹색농촌체험마을'이나 '어촌체험마을'과 같은 유사 사업의 연계·통합을 시도해 정보화가 지역 활성화를 위한 최적의 수단이 되도록 변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 실장은 이를 위해 “지자체는 형평성 원칙에 따라 관련 유사 사업을 마을별로 분산 추진하기보다는 사업의 효율성과 주민의 자발적 참여의지를 기준으로 농어민의 삶의 질 향상 관련 사업을 통합 지원하는 등 선택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두선 기자 cds081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