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 7월 5일, 장마철을 앞두고 배수로 공사가 한창이던 충남 공주의 송산리 고분군에서 엄청난 일이 벌어졌다.
공사 도중 가지런히 쌓은 벽돌들이 나타났고, 바닥에 놓인 두 장의 돌판 중 하나에서 ‘영동대장군백제사마왕’(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이라는 명문이 출토, 즉 무령왕의 무덤이었다.
백제 제25대 무령왕(武寧王·재위 501~523)과 왕비의 합장무덤인 무령왕릉은 그렇게 우연히 1450년의 긴 잠에서 깨어났다.
백제고분은 대부분 일제 등에 의해 도굴피해를 입었지만, 무령왕릉은 도굴 피해를 입지 않고 원형을 그대로 갖추고 발견됐다.
무령왕릉 발굴은 20세기 한국 고고학 발굴의 최대 성과로 꼽힌다.
지금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왕릉 가운데 무령왕릉처럼 무덤의 주인공을 알려 주는 묘지석 등의 명문이 출토된 사례도 유일하다.
이처럼 삼국시대 왕릉 중 무덤 주인이 누구인지 정확히 확인된 유일한 최초의 왕릉으로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무령왕릉에서는 왕과 왕비의 금동신발, 머리에 쓰는 금제 관 장식, 중국 도자기 등 108종 4687점(국보 12종 17점 포함)의 유물이 출토됐다.
무령왕릉의 무덤양식 자체도 백제식이 아닌 당시 양 나라와 동일한 아치형 전축분으로 백제의 국제성을 주목하는 계기가 됐다.
무령왕릉은 전축분이라는 중국 남조 계통의 무덤 형식과 중국제 도자기, 일본산 금송을 사용한 관재 등의 존재를 통해 백제의 해상국가의 면모를 보여준다.
그중에서도 출토된 백자 등잔은 현재까지 출토된 백자 중 세계 최초이기에 더위 의미가 깊다.
금송은 일본 열도 남부지역의 특산물로, 일본에서도 왕실이나 유력 귀족들이 관으로만 사용됐다.
이 같이 당대 중국과 일본까지 아우르는 무령왕릉을 통해 그 무렵 백제의 모습을 조금은 추측해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밖에도 중국산 도자기 및 등잔 등이 백제의 뛰어난 세공기술을 담아낸 금제 장식과 함께 부장되어 있었다.
▲ 1971년 7월 8일 무령왕릉은 1450년만의 긴잠에서 깨어났다.(사진은 10여명으로 구성된 발굴단이 무령왕릉 입구를 열고 있는 모습) |
당시, 무덤의 주인까지 확실한 처녀분 발굴이라는 경이로운 상황에 모두 너무 흥분한 나머지 철야로 무덤개봉에서 유물 수습까지 하룻밤 만에 졸속발굴을 완료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록이 그리 많이 남아 있지 않은 백제, 무령왕릉은 그런 백제에 대해 많은 걸 알려주는 역할을 했다.
무령왕릉으로 인해 백제역사연구가 엄청난 발전을 이룬 것이다.
김승희 국립공주박물관장은 “그동안 무령왕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만 있었지만 1971년 당시 무령왕릉이 발굴됨으로써 실체가 확인될 수 있었고, 왕의 이름이 정확하게 나온 유일한 단일 무덤으로 역사적 가치가 크다”며 “백제는 서울부터 전라남도 영산강 주역 더 나아가 일본 등까지 동아시아에서까지 문화를 전파하는 등 백제문화가 차지하는 역사적 위상과 가치가 새롭게 정리되고 부각돼야 한다”고 말했다./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