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대학도서관의 대부분은 일반인의 열람을 허용하고는 있었지만 5만~10만원의 예치금을 받거나 나이기준을 두고 빌릴 수 있는 도서 수를 제한하는 등 일반주민들이 이용하는 데 많은 제약이 따랐다.
또 회원가입 후 1년마다 연장신청서를 제출해야하는 불편함은 물론 이용기간 만료 후 연장 또는 해지하지 않으면 예탁금이 국고 귀속되는 손해를 볼 수 있다.
한밭대도서관은 도서대출 뿐만 아니라 자료열람을 하는데도 5만원의 예탁금을 내고 회원가입을 해야 했으며 그나마도 초·중·고 학생들의 이용은 아예 금하고 있었다.
대전대도서관은 일반인의 열람은 가능하지만 대출시 5만원의 예치금과 주민등록등본 등을 제출해야했고 한남대는 예치금은 없지만 일반인이 이용하려면 직장 재직증명서를 제출해야하는 등 주부, 학생, 노인들의 회원가입을 원천봉쇄해 소외계층을 차별하는 게 아니냐는 비난을 사고 있다.
KAIST 도서관은 방문증을 받은 후 자료열람은 가능하지만 대출과 같은 도서관 서비스는 받을 수 없다.
주부 김미진(37·대전시 유성구 지족동)씨는 “집 근처에 충남대와 한밭대 등 대학도서관이 있는데 예치금을 내라는 등 도서대출은 안된다는 등 제약이 많아 이용이 꺼려진다”며 “대학들이 말로만 지역주민에게 서비스한다고 떠들게 아니라 이용편의를 제공해야할 것”이라고 따졌다.
중학생 김영윤(15)양은 “대전에 있는 대학도서관 가운데 중고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곳은 거의 없는 것 같다”면서 “대학들이 도서관을 학생과 주민들에게 좀 더 폭넓게 개방한다면 학교 이미지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대전의 한 대학도서관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대학도서관은 대학생과 교직원을 위한 시설물인데 일반 주민들에게 개방하게 되면 무질서한 환경으로 인해 재학생들에게 피해가 발생해 개방에 한계가 있다”면서 “잦은 책 분실과 대여기일이 잘 지켜지지 않다보니 예치금제도를 운영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하영 객원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