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민선5기 충남의 농정혁신은 농어업의 주체인 농어민의 자발적 성장을 유도하는 내발적 발전전략에 따른 것이다. 또 충남도는 기업유치 등 외래형 지역개발의 한계를 인식하고 지역내에서 성장과 분배를 이루어 낼 수 있는 경제정책을 도입해 추진하고 있다.
이같은 민선5기 충남도의 정책적 기조 변화를 접하면서 이러한 정책적 노력이 지역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인지를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한 게 현실임을 보게 된다. 우선 내발적 발전론의 구체적인 실천이 그리 녹녹치 않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박진도 충남발전연구원장도 “내발적 발전이란 말은 쉽지만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듯이 내발적 발전모델이 정책적 목표로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주민의 역량 강화'라는 자생적 변수가 가장 큰 관건이다. 지역주민의 역량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그만큼 시간과 여러 구비조건이 들어맞아야 하는데 이는 만만한 일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남도 민선5기의 새로운 정책모델로 내발적 발전론을 들고 나온 것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는 판단이다. 지방자치20년이 지났지만 아직 중앙정부가 막강한 권한을 쥐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발전의 상당부분을 중앙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게 지방의 현실이었다. 충남도 뿐 아니라 대부분의 자치단체는 기업유치와 같은 외부의존적 지역개발을 추진할 수 밖에 없었고 이로 인한 부작용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런 흐름에서 충남 민선5기가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민의 역량강화를 통한 발전전략에 눈을 돌린 것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동력원으로서의 내발적 발전론이 지방자치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지역민의 참여의식 등 선결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무엇보다 지역사회의 우호적 협력이 관건이 아닐 수 없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