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수돗물, 3% 신뢰와 97% 불신

  • 오피니언
  • 사설

[사설]수돗물, 3% 신뢰와 97% 불신

  • 승인 2011-07-27 18:09
  • 신문게재 2011-07-28 21면
수돗물에 대한 충남도민의 불신이 생각보다 심각하다. 충남도가 도내 수돗물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접 음용수로 쓴다는 비율이 3%에 불과했다. 왜 별 문제 없다는 수돗물을 외면하는지에 대한 근본 원인과 개선책을 찾아야겠다. 도민 의식을 '부적합'에서 '적합'으로 바꿀 특단의 대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조사에서 드러난 대로 정수기를 이용하고 끓여 마시거나 생수를 구매하는 비율 증가는 수돗물에 대한 신뢰성 부족에 기인한다. 식수로 수돗물이 부적합하다는 불신의 저변에는 당국의 미지근한 대응도 한몫 하고 있다. 상수원 관리에 대한 불신, 수도관 오염과 시설 노후 등에 대한 불안 요인이 정말 없는지 돌아보기 바란다.

도민 탓만 할 일이 아니다. '막연히 불안해서 못 마시겠다'는 도민들이 안전하다는 인식을 갖게 하려면 실제로도 안전해야 한다. 최근 구제역 가축 매립 등 수질에 대한 우려도 얼마간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상수원 오염 방지로 수질 안전성과 관련한 확신이 서야 막연한 불신도 사라질 것은 너무나 자명하다. 문제는 수질과 안전성으로 귀결된다.

겨우 도민 3.4%만이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다면 이미 심각한 수준을 넘어섰다. 기준에 적합한 먹는 물을 그렇지 않다고 믿는 데 대해 누구보다 상수도 당국은 책임의식을 느껴야 한다. 무슨 물이 나오는지 막연하고 수돗물이 시판 생수보다 더 깨끗하다는 확증이 없다 보니 기피하는 게 아닌가. 이것이 도민이 느끼는 수돗물 불신의 숨길 수 없는 단면이다.

지역주민에게 수돗물을 마시라면서 생수를 사먹는 이중적 행태부터 버려야 한다. 지자체를 비롯한 공공기관에 수돗물 직수 음용시설을 확대 설치해 이용을 권장하는 것도 다소 효과는 있을 것이다. 근거 없이 수돗물이 유해한 것처럼 오도하는 일부 부도덕한 상술에도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

깨끗한 수원 및 수질 관리, 노후 시설물 개선 등으로 실제로 깔끔하고 질 좋은 수돗물이라는 확신을 갖지 못하면 인위적인 수돗물 음용률 높이기는 금방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신뢰성의 핵심은 수질과 안전성이다. 3%밖에 안 마시는 이유는 어쨌거나 불안이 극심하기 때문이다. 결국 수돗물에 대한 충남도민의 불신감 해소에서 다각적인 답을 찾아내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2025 자전거 타고 '행복도시 명소' 투어....4월 26일 열린다
  2. 박수현 "세종 행정수도 서울 경제수도…李 의지확고"
  3. 세종 아파트값 1년 5개월만에 상승 전환…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 향후 상승 관측
  4. K리그1 1·2위 맞대결…19일 대전하나시티즌vs김천 상무
  5. [박현경골프아카데미]백스윙 어깨 골반 회전! 당기서, 누르고, 돌려주세요
  1.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매각부지 활용안 찾는다
  2. 천안검찰, 2만5000원에 롤 계정판매 사기 혐의 '벌금 50만원' 구형
  3. 대전교통공사, 장애인의날 교통약자이동지원차량 무료운행
  4. 세종충남대병원 서정호 교수, 학대예방경찰관 대상 교육 실시
  5. 대전경찰청-카이스트, 청소년 사이버 도박 예방 협약 체결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집권 시 일단 용산 대통령실을 집무실로 쓸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음 단계로는 청와대를 신속히 보수해 들어가고 최종적으로는 개헌을 전제로 세종시로 이전하겠다는 뜻을 덧붙였다. 6·3 조기대선 정국에서 차기 대통령 집무실 위치가 뜨거운 화두로 오른 가운데 그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으로 주목된다. 이 후보는 18일 오후 MBC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나와 '만일 당선되면 대선 직후 대통령 집무를 어디로 시작할 것이냐'는 김경수 경선 후..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국토교통부가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기존보다 쉽게 추진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정을 조정한다.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요건에 무허가 건축물을 포함하고, 재건축진단(옛 안전진단)은 세부평가 항목을 늘려 노후 아파트의 재건축 문턱을 낮추는 게 골자다. 대전에서도 노후아파트 재건축 추진 움직임이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관련 절차 진행에도 활로가 뚫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토부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시행령' 하위법령 개정안을 18일부터 다음 달 28일까지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발표했다. '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재건축진단 기준' 하..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가 저출산과 지방소멸 등 국가적 위기 속 전국에서 유일하게 결혼과 출산 지표가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의 기업유치 및 다양한 청년 우선 정책이 빛을 발한 것으로풀이된다. 대전시에 따르면 과거의 대전은 교통과 주거 등 인프라 측면에서 살기 좋은 도시라는 이미지가 짙었다. 그러나 지금 대전은 행정당국의 '기업 유치-대전 정착-결혼-육아-노인 복지'로 선순환 정책이 자리를 잡으면서 청년 세대에게 '살고 싶은 도시'라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도시로 성장했다. 대전 청년 정책의 효과는 통계 지표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통계청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

  •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