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가입자가 늘어난 것은 태풍과 벼 백수 피해 증가에다 지방비 부담을 늘린 것이 주효했다고 분석된다. 이런 추세라면 관심 갖는 농가는 갈수록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001년 시범사업에서 출발한 이 제도는 이제 시행 10년을 넘어섰다. 가입률을 지속적으로 높이는 방법은 다른 데 있지 않다. 재해보험이 예측불허의 자연재해 앞에 얼마나 회생 가능한 시스템이 되느냐에 달려 있다.
즉 농가 경영 불안 해소를 위한 정책성 보험의 성격을 강화하는 것이다. 올해 12개 품목에서 2014년 30개 품목으로 늘릴 계획인 것으로 알고 있다. 가능한 한 모든 농작물로 가입 품목을 확대시켜 나갔으면 한다. 자연재해 앞에서 하늘만 쳐다보는 시대는 종식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농작물 재해보험이 지속성장하려면 충남도 관계자도 밝힌 대로 예산 확대가 선행되지 않으면 안 된다. 보상 대상 재해의 범위도 넓히고 일정부분 손실을 봐야 인정해주는 재해보상 범위 역시 완화해야 한다. 순보험료 중 농가 부담 보험료를 줄이는 것은 매우 현실적인 대안이 아닐 수 없다.
충남도내 이번 증가세는 국비 50%, 도비 15%, 시·군비 15% 등 보험료 80%를 지원하고 농가 자체 부담률을 20%로 줄인 것도 요인이다. 다음 단계는 가입 대상 작목을 확대하고 보장범위도 늘려 농작물 재해보험으로 안정적으로 재생하는 수준이 돼야 한다. 폭우 등 기상이변이 잦은 만큼 재해보장 시장의 성장성을 주목하며 시장 규모 확대에도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일부 재해에 한정된 것을 모든 자연재해로 확대하는 방안 마련 또한 시급하다. 가입 대상이 기후·계절의 영향에 절대적인 농작물이고 보험료 일부를 지원받는 점은 이 보험의 본질적인 특징이다. 결국 지자체, 그보다는 정부의 지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모처럼 관심 갖는 농민이 많을 때 미비점을 보완해야 호응도를 높일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