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싣는 순서]
1. 충청권 사업개요·지역 파급효과
2. 부지매입 비용 국비지원 이뤄져야
4. 과학벨트 전담기구 격상해야
5. 전문가 의견
대전시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확정 이후 후속 대책 마련에 분주한 가운데 과학벨트 사업이 지역발전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정부가 해당 지자체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과학벨트 선정에 따른 대전시의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신동·둔곡지구의 대체 산업용지 확보 문제를 들 수 있다.
대전이 과학벨트 선정 후 민간자본 투자와 기업들의 이전 문의가 잇따르고 있으나 이들을 유치할 만한 마땅한 부지가 없기 때문. 신동지구의 경우 당초 외국인 투자기업 단지로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이번 거점지구 선정으로 대체 부지를 마련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시는 대체 산업용지 확보를 위해 대동·금탄지구 조기개발을 추진 중으로 지식경제부의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하다.
또 실시계획 변경, 그린벨트 해제 등 거점지구 개발기본계획 절차진행과 관련해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과 R&D특구와 중복지정 및 R&D특구법과 과학벨트법의 관계정립도 필요한 상황이다.
정주여건 조성의 경우 외국인에 대한 생활편의 제공 등 차별화된 연구환경 조성이 필요하지만, 관련 예산 3000억원이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에만 한정돼 있어 향후 재정지원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내년 초로 예정된 연구단 선정 때 거점·기능지구가 입지한 충청권이 가장 많이 유치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할이 요구된다.
연구단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에 15개, KAIST·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연합에 10개 등 25개가 충청권에 배정될 예정이다
특히 과학벨트가 세종시의 자족기능 강화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충청권 3개 시·도는 과학벨트 성공 추진과 상생발전을 위해 TF(태스크포스)팀을 14일 공식 출범한다.
충청권 3개 시·도는 이날 대전시청에서 TF팀 1차 회의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TF팀은 3개 시·도청과 발전(개발)연구원, 테크노파크 인력 15명으로 구성됐다.
TF팀은 앞으로 과학벨트 거점지구(신동·둔곡지구)와 기능지구(연기·천안, 충북 청원)의 연계발전 방안과, 연구단 유치, 국비확보, 연구결과의 산업화 유도를 위한 핵심기관의 역할을 맡게 된다.
앞서 염홍철 대전시장과 이시종 충북지사, 안희정 충남지사는 지난 5월 17일 과학벨트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성명을 내고 TF팀 구성을 합의한 바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다음 달 '과학벨트 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으로, 충청권 3개 시·도의 의견 반영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성욱 대전시 개발위원회 회장은 “과학벨트가 성공적으로 조성되기 위해서는 기본계획 작성 때 지자체의 의견을 무시하지 말고 적극 수용해야 한다”면서 “차별화된 연구환경 조성과 세종시 등과 연계 발전을 위한 구체적 방안 마련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과학벨트 입지에 따른 대체 산업용지 확보를 위해 중앙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며 “대전시 등 충청권 3개 시도의 TF팀에서 정부에 건의할 연계발전 방안 등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