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사는법]나 혹시… 파킨슨씨병?

  • 문화
  • 건강/의료

[건강하게 사는법]나 혹시… 파킨슨씨병?

안정·활동시 떨림따라 질환 구별…휴식 취해도 증상 심하면 의심을 조기진단땐 진행과정 늦출수 있어 스트레스 피하고 커피·홍차 줄여야

  • 승인 2011-07-06 14:10
  • 신문게재 2011-07-07 10면
  • 김민영 기자김민영 기자
●손 떨림


손을 떠는 증상, 즉 '수전증(手顫症)'은 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가져다 준다.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는데 간혹 불편과 오해를 불러오기도 한다. 회식자리 등에서 잔을 받다 손을 떨면 '혹시 알코올중독이 아닌가' 의심을 사기도 하며, 약물 복용 등의 오해로 첫인상을 매우 안 좋게 남길 수도 있다. 이러한 손 떨림 증세는 생각보다 많은 사람에게 일상생활에 불편을 준다.

여럿이 모여 있는 장소에서 유심히 살펴보면 손을 떠는 사람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젊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경우 면접이나 중요한 자리에서 낭패를 보기 쉽다. 손 떨림 증상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등에 대해 건양대학교병원 신경과 김용덕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편집자 주>

▲ 김용덕 교수 건양대병원 신경과
▲ 김용덕 교수 건양대병원 신경과
▲손 떨림(수전증)= 손가락이나 손이 떨릴 때 흔히 수전증이라고 한다. 수전증이란 질환 자체의 이름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에 의한 손이 떨리는 증상을 총칭하여 일컫는 말이다. 신체 부위가 떨리는 진전증(震顫症)은 손 뿐만 아니라 머리, 목소리, 다리, 턱 등 몸의 여러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다. 그런데 유독 수전증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손이 신체 부위 중 가장 많은 기능을 하기 때문이기도 하며, 또한 대부분의 진전증은 수전증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손을 떨지는 않으나 머리를 떨거나 목소리가 떨리는 경우도 많은데 이 경우에 진전증이라는 말을 쓴다.

▲증상의 구분 및 대표적인 질환별 특성= 진전증은 주로 어떤 상황에서 생기느냐에 따라 '안정 시 떨림'과 '활동 시 떨림'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활동 시 떨림으로 주로 나타나는 병으로는 본태성 진전이 있으며, 안정 시 떨림이 특징적인 질환으로는 파킨슨씨병이 있다. 생리적으로 인체의 근육들은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미세한 반복 운동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외부 요인에 의해 이 반복 운동이 과장되어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으로 나타날 때 이것이 떨림증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떨림은 특별한 신경계 질환이 없이도 나타날 수 있으며, 커피나 홍차를 많이 마신 경우와 과도한 불안증으로도 이러한 떨림을 경험할 수 있다.

●본태성 진전

본태성 진전은 손떨림 증상의 가장 대표적인 병이다. 그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진 않지만 가족력이 있는 본태성 진전증은 일종의 유전적 병으로 우성 유전으로 유전되는 경우가 있어 자세히 살펴보면 직계 가족 중에 진전증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손떨림이 처음 시작할 때 한쪽에서 시작하나 곧 이어 대개 양측으로 침범하게 된다. 따라서 한쪽 팔이나 다리에만 비대칭적으로 심한 진전증이 있다면 본태성 진전증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많다. 환자들은 수저를 집거나 국물 있는 음식을 먹을 때 혹은 글씨를 쓸 때 손이 떨린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듯 어떤 자세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 심해지는 형태의 떨림이 전형적이다.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거나 악화를 반복하기도 하는데 주로 긴장하거나 화를 낼 때 또는 흥분된 상태에서는 일시적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심한 경우 이것 때문에 사회생할을 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감정적 흥분이외에 또 다른 악화 요인으로는 심한 피로, 극심한 온도 변화, 중추신경 흥분, 약물 등이 있다. 술은 많은 본태성 진전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또 수면 중에는 대부분 증상이 소실된다. 본태성 진전의 치료는 개인마다 달라 정도가 아주 경미하여 일상생활이나 직업에 지장이 없다면 굳이 치료할 필요가 없다.

●파키슨씨병

수전증 중 안정기 떨림이 나타나는 흔한 질환으로는 대표적으로 파킨슨씨병이 있다. 이 경우에는 본태성 진전과는 달리 움직이지 않고 휴식을 취할 때나 보행 시에 손떨림이 심해지는 것으로, 주로 손을 사용하지 않고 누워 있거나 걸을 때 진전이 나타나며 수저를 집거나 하는 동작을 취하면 떠는 증상이 소실되거나 진폭이 감소된다.

따라서 불편해 보여도 실제 생활에는 크게 지장이 없다. 파킨슨씨병은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하기 때문에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악화되는 퇴행성 질환으로 전문가에게 조기에 진단을 받으면 병의 진행과정을 느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진행된 증상도 약물로 조절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약물 치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병이다.

건양대병원 김용덕 교수는 “스트레스는 그때그때 풀어버리고, 커피, 홍차를 너무 마시지 않는다든가, 피로를 풀어 버리는 생활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며 “만일 신경계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도 전문의를 통한 정확한 진단 하에 적절한 치료를 시행한다면 수전증의 큰 불편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