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지구는 연구성과의 산업화 등 여러 측면에서 거점지구와 단절되거나 유리된 것이 아니다. 구조적으로 거점지구의 발전 역시 기능지구에 상당부분 의존할 수밖에 없다. 6개 팀에는 천안, 연기지역 조성팀이 포함돼 있는데, 기능지구인 충북 청원과도 도계를 넘어 접촉해야 한다. 대전시와 충북도, 교과부 실무단, 기능지구 전담팀을 최근 꾸린 행복도시건설청과도 수시로 조율이 필요하다.
1차 목표는 올 하반기 정부의 기본계획 수립 이전에 확고한 발전방향 및 대응전략을 구축하는 데 두는 게 좋겠다. 이를 위해 정례회의뿐 아니라 상시 채널을 가동해 더 많은 부가가치 창출에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기능지구 특화 방안, 지역 연계 인프라 구축 등 공조체제에 있어서는 국지적이 아닌 광역화된 마인드가 요구된다.
거점지구가 연구의 허브라면 기능지구는 연구성과의 비즈니스 연계에 더 방점이 찍힌다. 기능지구의 독자적인 발전보다 거점지구에 들어설 연구단과의 연계 등 활동 영역을 다각화해야 한다. 천안과 오송·오창의 산업기반을 총결집하면서 세종시의 자족기능을 견인하는 선순환구조를 이룰 중요한 몫도 충남도 전담팀에 달렸다고 본다.
현재 기능지구는 기본적인 개념 정립조차 되어 있지 않고 다분히 추상적이다. 심지어 과학벨트 특별법상으로도 기능지구 지원 근거조차 불확실한 상황이다. 자칫하면 기능지구 상생도 공허한 탁상공론에만 그칠 개연성마저 있다. 이런 국면을 오히려 역으로 활용해볼 수도 있다. 충청권이 교과부에 제출할 조성 발전방향이 곧 기능지구 기본계획이 된다는 신념으로 일해 달라는 뜻이다.
쉽게 정리해 TF의 역할은 제대로 된 기능지구 조성, 기능지구 조기 활성화 두 가지로 압축된다. 예산 공조는 물론, 기능지구가 응용연구의 중심지로 부상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선진국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국내 R&D 체질을 전환하는 임무는 기능지구에도 부과돼 있다. 기능지구의 조기 활성화를 지역 주도로 앞당긴다는 창의적인 사고 아래 첫 단추부터 잘 꿰길 주문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