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하는 쪽은 중고생들이 명문학교 진학에 목을 매고 있는 현행 입시경쟁체제에서 학원·과외 등 사교육 시장으로 내몰릴 것이라고 지적한다. 지난 5년 동안, 격주 5일 수업에서 '놀토'는 학생들에게 학교 대신 학원가는 날이 돼왔다. 그런 점에서 쉬는 날의 증가가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기는커녕 학원가는 날만 늘리고 사교육과 학부모들의 사교육비 부담만 더 가중시킬 개연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부익부 빈익빈'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학원·과외를 받을 수 없는 저소득층 아이들의 상대적 실력 저하는 교육 양극화로 이어질 수 있다. 또 주말에 일하느라 자녀를 돌볼 수 없는 가정의 아이들은 지도에 공백이 생기고 외톨이로 방치돼 소외감이 커질 수도 있다. 주말에 야외에서 자연생태를 관찰하거나 박물관 등에서 수업시간에 배우지 못한 것을 배울 형편도 안 된다.
주5일제 수업은 사회적으로 공감하는 분위기다. 삶의 질 향상이라는 주5일제 근무와 맞물려 학생과 교사도 예외일 수 없다고 본다. 그렇다면 문제는 주5일제 수업의 전면 시행에 따라 예상되는 문제점과 부작용을 어떻게 최소화하느냐다.
교과부가 내놓은 초등 저학년을 위한 '토요 돌봄교실', 방과후 학교 확대 등의 대책은 격주 5일 수업을 할 때와 별다른 게 없다. 이런 재탕 대책으로는 부작용을 막기 어렵다. 아이들을 학원에 내몰지 않으려면 학교 밖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 문화시설 확충, 사회교육 인프라 정비 등 과감한 교육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맞벌이 부부, 외부모 가정, 영세사업장 노동자 등 소외계층 자녀들을 돌보는 체계적이고 꼼꼼한 프로그램도 마련돼야 한다.
학부모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지역사회의 관심과 협조도 필요하다. 도서관 박물관 문화시설 등을 개방하고 이를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도 개발해 '놀토'의 취지를 십분 살릴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무엇보다 주말 학원가가 북적이는 한 주5일제 수업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