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전체 실업률의 두 배가 넘는 청년실업률 해소를 위해서도 먼저 풀어야 할 문제다. 지난 1분기 대전·충남지역의 청년층 실업률은 대전 9.0%, 충남이 5.8%였다. 각각 전체 실업률 4.7%, 3.0%의 거의 곱절에 달한다. 이걸로 미뤄봐도 지방을 꺼리는 구직자의 마음을 돌릴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 하겠다.
특히 제조업 생산활동의 근간인 기능직·기술직 인력 부족률은 심각하다. 그런데도 청년실업률은 더 치솟고, 정책적인 일자리 창출은 재정여건상 한계가 있다. 고용시장 상황이 이러면 일자리를 만들어도 효과는 미미할 수밖에 없다. 이 같은 현상은 지방에 국한되지 않고 경기도 등 수도권 중소기업에게도 골칫거리다. 더 촘촘한 고용회복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다.
이 기회에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인지도가 청년층의 무관심을 부추기는 요인은 아닌지도 돌아봐야 한다. 지역 소재 기업이 어떤 분야 업체인지에 대한 정보를 모른다면 기업과 대학의 책임도 없지 않다. 특히 중소기업계가 지역인재 채용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가져야 취업난과 구인난이 겹쳐진 고용 위기상황을 풀 수 있다.
중소기업 중 3D업체인 경우 이러한 구인난은 더하다. 그렇다고 대기업을 바라보는 젊은 구직자들의 눈높이만 탓할 수도 없다.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편견, 임금 격차, 기업 안전성, 근무환경 등 근본적인 부분도 함께 풀어야 한다. 지역 인재 채용 의지와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 지역 대학과의 협력 분위기 제고에 고용 회복의 초점을 맞추는 게 급선무다.
국내 중소기업 일자리 비중은 80%가 넘는다. 20%의 대기업을 주로 찾는 청년 구직자들의 인식이 바뀌도록 적극적인 홍보도 요구된다. 지역 기업 외면이 청년 실업을 가중되는 요인이라면 더더욱 방치해서는 안 될 일이다. 결국 구조적인 미스매치, 즉 구직난과 중소기업 인력난의 동시 해소에서 그 답을 구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