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 같은 대선공약은 세종시의 경우 수정안논란으로 이어졌고 결국 국회표결을 통해 결정되면서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당초 안과 같은 형태로 귀결되었다. 그 과정에서 지역민이 겪은 혼란과 갈등은 이루 다 표현하기가 어려울 만큼 지역민을 힘들게 했다. 과학벨트공약 역시 3년여를 거치면서 논란에 논란이 거듭됐다. 당초 이 대통령의 대선공약이던 과학벨트가 틀어지기 시작한 계기는 세종시수정안이 발표되면서였다. 정부가 지난해 1월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하면서 그 핵심중 하나로 과학벨트를 제시했기 때문이다. 그 후 과학벨트는 정치권의 먹잇감으로 전락되다시피 변질됐고 여기에 청와대가 공약에 얽매이지 않겠다는 태도를 취하면서 논란은 더 깊어졌다.
과학벨트위원회의 객관적 평가로 과학벨트입지가 대전 대덕연구단지로 결정됐지만, 정부의 국책사업 정책결정과정은 도마 위에 오르게 됐다는 게 지역민들의 반응이다. 무엇보다 정부정책의 신뢰성 상실이다. 세종시에 이어 과학벨트결정은 결국 이 대통령의 공약대로 결정됐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대선공약은 번복됐고 정부 관계부처 역시 이러한 정책변경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이와 함께 정책의 일관성이란 큰 원칙도 지켜내지 못했다. 이렇게 된 이면에는 정치적 상황논리에 매몰됐기 때문이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정책은 무엇보다 국민들의 신뢰성이 가장 큰 관건이라 할 수 있다. 국가사업이 국민들의 호응과 예측 가능한 시스템 속에 이루어질 때 비로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