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저축은행은 장점이나 강점이 없어 상품 가치로서의 매력은 없다는 게 중론이다. 금융당국의 강제 매각 방침 외엔 뾰족한 방법이 없다고 보고 있다. 때문에 매입할 금융기관의 의견이 최대한 반영된 협상안이 불가피하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는 대전저축은행의 상품 가치는 사실상 없다고 보고 있다. BIS자기자본비율이 마이너스로, 이미 자본이 잠식돼 영업정지됐기 때문이다. 영업정지될 정도면, BIS자기자본비율은 실제 지표보다 더 심각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실제, 유동성만 부족한 줄 알았던 대전저축은행의 순자산은 -2263억원,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도 -25.29%로 부실이 심각한 수준이다.
한은 관계자는 “강제로 (매각)하는 수밖에 없다”며 “은행에 매각하든지, 은행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서는 조건이 어떤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상자가 쉽게 나타날 것 같진 않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대전지원도 한은과 마찬가지다.
대전저축은행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비중이 너무 높은데다, 자본잠식 등 부실이 심각해 새로운 주인을 만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대전'이라는 지역적 강점을 언급했다. 대전에 뿌리를 내린 저축은행이 사실상 없다는 점은 대전저축은행의 강점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대전지원 관계자는 “자산과 부채를 이전하는 P&A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한 만큼, 방법은 있을 것”이라며 “대전 입장에서도 대전저축은행의 회생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중은행인 하나은행 역시 대전저축은행의 부실을 강조했다.
자산 1조5000억원을 넘는 저축은행의 서민대출이 100억도 되지 않는다는 건 대부분 PF 대출 등 대부분 기업대출로, 사실상 부실 자산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현재 여건만 따지면, 매각은 불가능하다”며 “정부가 강제 매각 의지를 보인 만큼, 구체적인 매각 조건과 협상안이 제시되면 그때 가서 고려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충남농협 모 지점장도 “금융지주사가 사들이는 건 분명하지만, 그전에 금융당국의 강제 매각 의지도 금융지주사의 요구 사항과 맞아 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저축은행 예금자 비상대책위원회가 부산저축은행 초량본점에서 강제 매각 철회를 요구하며 점검 농성을 벌여 재산 실사 작업 등에 차질이 생겨 매각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