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금피해자 모임 금감원 항의방문
대전저축은행 예금피해자들이 29일 둔산동 금융감독원 대전지원을 방문해 부실한 관리감독문제등을 항의하고있다. /손인중 기자 |
영업정지된 대전상호저축은행의 운명을 결정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금융당국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함에 따라 45일 내에 자체 정상화가 되지 않으면 매각 절차에 들어가는 만큼, 우선은 자체 정상화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모기업인 부산저축은행계열 모두 스스로 재기할 가능성이 작다는 점에서 분리매각 등이 불가피할 수 있어 금융지주사는 물론, 제2금융권도 눈독을 들일 것으로 전망된다.
▲자체 정상화 여부 관심=금융위원회는 지난 29일 대전저축은행 등 부산저축은행계열 5개 저축은행과 보해, 도민상호저축은행 등 7곳을 부실 금융기관으로 결정하고 경영개선명령을 부과했다.
7개사 모두 자본이 잠식됐고, BIS기준 자기자본 비율이 기준에 미달했기 때문이다. 7개사는 45일 이에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체 정상화가 되면 영업을 재개할 수 있다.
하지만, 기간 내에 자체 정상화를 달성하지 못하면 매각된다. 예금보험공사가 자체 정상화 가능성이 작다는 점에서, 정상화기간 중에 매각절차를 병행 추진한다.
예보는 5월 중 입찰 공고 후 예비 입찰과 인수자 재산실사 등을 거쳐 6월에 본입찰을 실시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대전저축은행 분리 매각 촉각=사실상 자체 정상화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최대 관심은 부산저축은행 5개 계열사의 분리매각 여부다.
금융당국도 부산저축은행그룹 전체를 파는 방안은 대형화 우려가 있어 제외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무엇보다, 유동성만 부족한 줄 알았던 대전저축은행의 순자산은 -2263억원,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도 -25.29%로 부실이 심각했다. 특히, 부산계열 5개사의 부실 규모는 모두 2조9100억원에 육박하면서 사실상 자체 정상화는 불가능하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전저축은행이 사는 길은 새로운 주인을 만나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예쓰저축은행(군산, 제주)이나 예나래저축은행(전주 등 전북)과 함께 파는 방안도 언급되고 있다.
▲금융지주와 제2금융권 '눈독' =저축은행 매각에 금융지주사는 물론, 제2금융권도 눈독을 들이고 있다.
옛 삼화저축은행을 인수한 우리금융은 추가로 1~2개 저축은행을 사들인다는 계획이다.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도 저축은행이 매물로 나오면 인수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힌바 있다.
대기업 계열이나 금융지주 자회사인 캐피털사와 보험사들도 저축은행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권 지주회사들과 2금융권 금융회사들이 저축은행 인수전에 나서면 저축은행 매각도 순조로울 수 있다”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