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 미분양 주택이 지난해 2/4분기 이후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적 추세와 맞물려가는 흐름으로, 오는 5월 지역의 신규 아파트 본격 분양과 함께 어떤 양상을 보일 지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지역 부동산 시장 활성화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미분양 주택의 현주소를 짚어본다.<편집자 주>
지난 2월에는 8만588호로, 7만호 하향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대전 미분양 물량 9개월새 감소=대전지역 미분양 주택 흐름도 전국적 흐름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지난해 6월 3046호 기록 이후 지난 2월 1901호로 대폭 감소했다.
이는 전국 미분양 물량의 2.3%고, 전국 16개 시ㆍ도 중 제주(209호)와 광주(964호)에 이어 3번째로 적은 수치다. 3월 들어서는 대전시 자체 집계상 1702호 수준까지 내려앉았다.
민간부문이 1651호로 여전히 대다수를 차지했다. 지난해 6월 이후 최근 9개월간 민간 건설사 분양이 전무한 현실을 잘 반영했다. 이중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316호를 차지했다.
지난달 기준 5개구별 미분양 물량 현황으로 보면, 대덕구가 803호로 가장 많았고, 유성구(469호)와 중구(194호), 동구(189호), 서구(47호)가 뒤를 이었다. 대덕구와 유성구가 두드러지게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데는 가장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세종시 건설 가시화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세종시 후광 효과를 등에 업겠다는 계산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다만 동구의 경우,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유일하게 미분양 물량이 증가했다. 지난해 3월에는 43호에 불과했지만, 1년새 146호 늘어났다.
세종시 수정안 부결과 서구 관저동 집값 폭등에 따른 부동산 시장 재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국 미분양 물량 대비 약 11%로, 경기도(2만1028호)와 대구(1만1929호)에 이어 세번째로 많았다. 16개 시·군별로 보면, 천안이 5307호로 가장 많았고, 당진(1100호)과 아산(463호), 서산(453호)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은 수도권과 인접한 특성과 개발 호재 등에 힘입어 부동산 경기 활성화 붐을 탔지만, 이는 현재 고스란히 미분양 물량으로 남았다.
다행히 서산에서만 200여호 증가했을 뿐, 15개 시·군 전체적으로는 줄고 있는 추세다. 개발여파가 비교적 덜한 금산과 청양, 부여는 미분양 물량이 전무했다.
지역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오는 5월부터 세종시 첫마을 2단계 분양과 대전, 충남 민간 분양 시장이 본격적인 문을 열 태세”라며 “이 같은 활성화 조짐이 지역 미분양 주택 물량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처럼 물량이 대거 쏟아지는데 시장 반응이 크지않을 경우, 지역 미분양 물량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