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도시벨트의 세종시 입지 여부가 민간건설사들의 사업 참여는 물론, 국책사업인 세종시 건설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이하 과학벨트위)는 지난 13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핵심 사업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한곳에 두는 통합배치안을 확정했다.
그러나, 과학벨트위가 일본의 대지진으로 인한 원전 사고에도 불구하고 입지요건 세부 심사항목에 '지반 안정성 및 재해 안전성' 평가를 제외한 채 '적격' '부적격'으로만 평가토록 해 “특정지역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도 행복도시건설청과 LH는 이에 대한 입장표명을 꺼린 채 가슴앓이만 하고 있다. 정부가 하는 일이라서, 이렇다 저렇다 말할 수 있는 처지가 못돼 처분(?)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건설청과 LH는 그러면서 입지여건 상 가장 유리한 세종시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로 선정되길 학수고대하고 있다.
민간건설사의 세종시 사업 참여에 대한 중대변수가 될 수 있어서다.
더욱이, 세종시 건설이 국책사업이라는데 건설청과 LH의 고민은 크다. 민간건설사들이 사업 참여를 유보하거나 늦추면 이주 공무원의 주거난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민간건설사들은 여전히 사업 참여를 미루고 있다. 세종시로 이전하는 정부청사 공무원을 믿고 아파트를 분양했다간 자칫 대규모 미분양사태를 초래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민간건설사들이 믿는 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세종시 입지 확정이다.
민간건설사들은 또 다음달에 있을 세종시 첫마을 2단계 아파트(3576세대)분양 결과에도 관심이 높다. 향후 세종시 신규 분양시장 흐름의 가늠자가 될 수 있어서다.
그런만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분산 배치되거나 입지가 다른지역으로 결정될 경우 민간건설사의 사업 참여 유보 가능성이 커, 세종시 건설은 위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행복도시건설청과 LH는 이런 최악의 상황이 되지않기를 바라고 있다.
이와 관련, LH 세종시본부 한 관계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정 선정은 정부가 결정하는 만큼,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힐 수는 없다”며 “하지만, 세종시 건설이 차질없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과학벨트의 세종시 집적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운석 기자 bw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