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아빠다 |
‘나는 아빠다’는 자식을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다는 부모의 심정을 바탕에 깐다. 문제는 ‘무슨 짓이든’의 수위다. 한종식은 심장병으로 누워있는 딸을 살리는 일이라면 무슨 짓이든 하겠다는 아비다. 경찰임에도 딸의 수술비 마련을 위해 장기밀매조직과 부당거래를 하고, 무고한 사람을 살인범으로 몰고, 증거를 조작하기 위해 사람을 죽이는 악행도 서슴지 않는다.
종식의 대척점에 다른 아비가 있다. 나상만은 종식의 조작에 살인범 누명을 쓰고 감옥살이를 해야 했다. 감옥에 있는 동안, “살인자 딸”이라고 놀림을 받던 딸은 사고로 죽고 자살을 기도한 아내는 식물인간이 됐다. 그는 딸을 지켜주지 못한 통한(痛恨)을 되씹으며 복수를 다짐한다.
영화는 ‘나쁜 아빠’와 ‘파괴된 아빠’의 처절한 사투를 거칠게 담았다. 강한 액션과 시종 자극적인 화면이 주를 이룬다. 과연 “나는 아빠다”라고 떳떳하게 말할 수 있는 아비는 누구인가.
연기자들의 파격변신이 영화를 보는 주 포인트다. 부드러운 이미지의 김승우는 악마에 가까운 나쁜 아빠 한종식을 맡아 생애 첫 악역에 도전했다. ‘들짐승’처럼 거친 ‘악질 형사’이지만 내면엔 뜨거운 부정이 흐르는 인물을 그럴 듯하게 소화해냈다. 관객의 눈시울을 뜨뜻하게 만드는 눈물 연기에, 고난도 액션 연기까지 선보인다.
반면 자타공인 악역 전문 손병호는 “예수님 나셨다”는 비아냥거림을 들을 만큼 착한 나상만으로 변신했다. 부도덕한 사회에서 선량한 인간이 겪는 무력감을 온 몸으로 표현해낸다.
상만이 종식의 딸에게서 죽은 딸을 떠올리는 복잡한 감정과, 상만의 사연을 뒤늦게 알게 된 종식이 죄책감에 괴로워하는 정도에서 그쳤으면 좋았겠다. 그랬다면 부모가 된다는 것의 의미, 부모로서 지켜야 할 윤리와 책임을 진지하게 묻는 작품이 됐을 거다. 하지만 ‘나는 아빠다’는 극적으로 폭발시키고픈 욕심에 무리수를 둔다.
종식의 딸에게 맞는 심장이 상만의 아내의 것이라는 식이다. 작위적인 우연과 힘이 잔뜩 들어간 결말은 마술과 용서가 어우러지는 정말 멋진 마지막 옥상신의 감동을 반감시킨다.
아빠니까, 자식을 위해선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고 치자. 아무리 그래도 무고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괴롭히는 악행까지 감동이나 쾌감으로 받아들일 순 없는 일이다. 그게 한계였다.
/안순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