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승찬 市 과기특화산업추진본부장 |
양승찬 대전시 과학기술특화산업추진본부장은 “충청권 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타당성을 위한 용역에도 충청권은 7가지의 당위성이 있다”며 “R&D는 선택과 집중으로 집적의 이익을 실현해야 집적의 이익을 실혀내야 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양 본부장과의 일문 입답.
-과학비즈니스벨트가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하는 충청권에 입지해야 하는 당위성이 있다면.
▲이번에 대전시와 충남북 등 충청권 3개 시·도의 '충청권 공동발전연구단'이 발간한 '충청권 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타당성을 위한 연구 용역'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충청권은 대학과 연구기관과 연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광역형 산업 파급 효과, 녹색도시 환경, 접근성, 재해 안정성이 높아 벨트 건설에 있어 전국 어느 지역보다 최대의 파급 효과를 낼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에서 분산 배치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분산 배치보다 집적화로 추진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두가지 측면이 있다.
우선 인력이 분산됨으로 인해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다.
대덕특구 등의 연구 인력이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두번째는 장비가 떨어져 있으면 장비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없다 거대 장비는 붙어 있는게 좋다.
대덕특구 근처만해도 거대 과학 장비만 2조원 가까이 투자돼 있다.
일각에서는 분산배치 논리로 독일과 일본 사례를 들고 있는데 일본은 한 곳에서 시작했다가 이후 여건 변화에 따라 확장을 통해 이뤄졌던 부분이며, 독일의 경우 연방 국가이다 보니 별도로 설치한 것을 나중에 묶은 것으로 우리와는 여건이 다르다.
현대에 있어 과학 기술에 있어서는 클러스터 이론은 집적이 핵심이다.
-충청권을 제외한 타 지역에서는 충청권이 세종시에 이어 과학비즈니스벨트까지 가져갈 경우 국가 균형발전에 어긋난다고 반발하고 있다.
▲그것이야 말로 정치적 논리다.
집중한 곳에 더 집중시키는 것이 세계적 추세다.
대덕에 투자했던 35년을 다시 균형 발전 논리에 맞춰 타 지역에 조성할 경우 다시 그 이상의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지역의 균형 발전 논리는 맞지만 과학은 균형 발전 대상이 아니다.
그렇게 될 경우 세계적인 기초연구환경을 구축해 국가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한다는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조성 취지에도 어긋난다. /오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