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 파장을 불러온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와 세종시와 내포신도시 등 굵직한 대형 사안이 자금 흐름을 이끈 요인들이다.
정부 예산 집행과 신학기, 영농철 등 계절적 요인도 한 몫하고 있지만, 앞으로도 저축은행 사태에 따른 자금 이동과 대형 사업을 위해 풀리는 예산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가 12일 발표한 여·수신동향 자료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자금 흐름에 가장 영향을 미친 건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 후폭풍이다.
우선, 예금은행의 수신이 크게 증가(1월 +3716억원→2월 +8138억원)했다. 반면, 비은행기관은 우체국 예금 증가 등 일부를 제외한 여신은 대폭 감소했다.
신협(+194억원→-698억원), 새마을금고(+1737억원→-1281억원), 농·축협 등 상호금융(+110억원→-1816억원) 모두 줄었다. 저축은행 역시 예금 이탈이 계속돼 감소세(-1785억원→-1404억원)를 지속했다.
대전저축은행 영업정지로 인해 비은행기관의 신뢰도가 하락한데다, 금리경쟁력 약화 등으로 예금이 인출되거나 예금은행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물론, 대학등록금과 지자체 교부금 등이 유입되고, 영농자금 상환용 예금이 인출되는 등 다른 요인도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세종시를 비롯한 지역 아파트 대출도 대규모 자금 흐름의 요인으로 꼽힌다.
일부 공기업의 운영자금 일시 상환과 건설사의 PF대출 상환 등으로 예금은행의 여신은 감소했다. 하지만, 아파트 중도금 대출을 중심으로 겨울방학 이사수요까지 겹치면서 가계대출은 크게 증가(-1880억원→+2335억원)했다.
반면, 비은행기관은 계절적 요인과 대출상환 등이 여신의 흐름을 이끌었다.
대전의 경우 새마을금고(+263억원→+178억원), 신협(+29억원→+62억원), 충남도 새마을금고(-91억원→+107억원), 신협(-112억원→+4억원) 등은 대출상환으로 소폭 증가했다.
상호금융은 대전(+125억원→+344억원), 충남(-474억원→+194억원) 모두 영농자금 수요 등으로 늘었다.
하지만, 유일하게 저축은행은 대전(-32억원→-70억원), 충남(-86억원→-122억원) 모두 전월에 이어 감소세를 지속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계절적 요인이나 1월에 이어 2월에도 저축은행 사태의 여파가 계속됐지만, 경제 흐름의 규모가 커지는 2분기에 접어들면서 분위기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