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이제 한 개인의 상태라는 단순함의 차원을 넘어 전 세계적인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 퇴행성 관절염 등 수많은 합병증을 야기시키고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비만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는 키를 미터(m)로 환산하여 제곱한 뒤 다시 체중(㎏)으로 나누는 체질량지수(BMI)가 쓰이며, 식이요법이든, 운동이든 체중감량을 시도하는 사람들에게 이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띠게 되었다.
수치 상으로 비만이라면, 비만이 아니라는 수치가 나올 때까지 계속해서 빼고, 빼고 또 빼야하는 것으로 인식이 되었다.
하지만 그동안의 체질량지수가 인종간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됨에 따라 체질량지수의 변화를 기준으로 삼던 체중 조절 방식이 오히려 저체중 및 그에 따른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송윤미 교수, 단국대의대 예방의학교실 하미나 교수, 강원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성주헌 교수가 1993~1994년 직장 건강검진을 받은 40~64세 33만8320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와 사망률의 상관관계를 10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비만 뿐만 아니라 저체중에서도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분석 결과 비만인 중년여성뿐 아니라 저체중인 경우에도 사망률이 점점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체질량지수와 사망률은 가운데가 가장 낮은 형태인 U자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구간은 체질량지수가 25와 26.9 사이인 집단이었다.
조사 당시 이미 진행 중인 질환으로 인한 영향을 제외하기 위해 신체검사 후 5년 이내 조기 사망한 사례를 제외하더라도 비만도와 사망률의 상관관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런 결과는 비만이나 마른 체형보다는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여성이 사망률이 더 낮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연구진은 “한국 중년여성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은 체질량지수 구간이 서양인과 차이가 없었다”며 “최근 의료계 일각에서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비만과 과체중의 기준이 되는 체질량지수를 서양인보다 더 낮게 설정하려는 움직임은 재검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비만 직전 단계에서부터 사망률이 빠르게 높아지므로 비만이 아니더라도 체중관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연구진은 강조했다.
그동안 비만 및 체중감량에 대한 수많은 통계적인 논문이 있으며, 나름대로 정확한 설계와 납득할 만한 결과를 도출해 내었고 모순되는 연구 결과와의 비교도 수없이 시행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는 또 다른 연구에 의하여 공격받을 수도 있고 묻혀질 지도 모르지만,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극단적인 '마름'을 추구하는 사람과, 극단적으로 숫자(BMI)를 만족시키려는 사람들에게 한 번쯤은 경각심을 줄 수 있는 연구결과가 아닐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