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음에도, 영업정지가 전격적으로 결정된데다 파장이 컸던 만큼, 이로 인한 '충격파'는 쉽게 가시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대전저축은행 스스로 운명을 결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영업정지에 따른 후폭풍 가능성과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업정지 전격 단행=대전저축은행의 영업정지는 말 그대로 전격적이었다. 영업정지 발표 직전까지 직원조차 알 수 없을 정도였다.
대전저축은행은 지난해 12월 증자를 통해 노력했지만, 자기자본비율(BIS)이 -3.18%에 그쳤다. 부채도 자산 대비 323억원 초과한 상태였다. 전체 대출 중 PF 대출 비중이 40%를 넘었고, 6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 여신비율도 16.4%에 이르렀다.
PF 대출에서 시작된 부실과 그에 따른 예금 인출 사태가 속출하면서 예금 지급 불가능을 이유로 영업정지를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저축은행의 설명이다.
삼화저축은행을 필두로 촉발된 저축은행 영업정지는 부산과 대전을 기점으로, 부산2와 중앙부산, 전주, 보해, 도민 등 모두 8곳으로 확산됐다.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진화 노력에도, 불안감을 떨칠 수 없는 것 역시 이 때문이다.
▲사태 진정 국면=예금 인출 사태가 시작된 지 1주 만에 저축은행 창구는 정상화되는 분위기다. 24일 오전 10시 현재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97개 저축은행의 예금인출 규모가 300억원으로, 전날 같은 시간 500억원과 비교해 40% 감소했다.
저축은행 예금 인출 규모는 매일 급감하고 있다. 부산과 대전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된 지난 17일 3000억원에서 18일 4800억원, 21일 4900억원으로 정점을 친 후 22일 2200억원, 23일 1200억원으로 줄었다.
대전저축은행을 비롯한 잇따른 영업정지 사태로 인한 예금 인출을 막기 위해 저축은행권은 금리 인상을 서둘렀다. 높은 BIS 비율 등을 내세우며 불안감 차단에 총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불안감은 여전하다.
금감원 대전지원 관계자는 “타지역에 비해 대전·충남은 빠르게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며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대처도 한 몫 했지만, 저축은행의 자구 노력도 유효했다”고 말했다.
▲제3자 매각 여부 촉각=가장 관심이 쏠리는 건 대전저축은행의 운명이다. 자체 정상화와 제3자 매각, 파산 등의 갈림길에서 어떤 결정이 내려질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모기업까지 영업정지된 상황에서 자체 정상화의 길은 만만치않다는 게 금융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지난해부터 부실 저축은행 인수를 저울질하는 기업들이 많은데다 금융지주사들도 저축은행 인수에 관심을 보여 M&A 시장이 들썩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부산저축은행계열의 경우 대전, 중앙부산, 전주저축은행의 매각을 추진 중이다. 팔아서 부산과 부산2를 살리려 하지만, 매각이 순조롭지 않은 상황이다.
유력한 인수 후보는 금융지주사다. 우리금융지주가 삼화저축은행 인수를 위한 우선협상자에 선정된 후, 신한과 KB, 하나금융도 매물을 물색 중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인을 찾지 못할 경우 대전저축은행의 파산도 배제할 수 없다”며 “우선 금융위의 실사 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결국 매각 협상은 성사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