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은 이들 6개 저축은행이 앞으로 경영개선명령(6개월) 기간내에 증자 등의 자구 노력을 통해 정상화의 길을 찾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경기침체 등 현 경제상황과 과거 영업정지 조치를 받아 자력 갱생한 사례 등을 감안할 때 이마저 쉽지 않아 제3자 매각이 추진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실사 거쳐 매각 결정=20일 예금보호공사에 따르면, 대전저축은행 등 6곳의 저축은행에 대해 실사하고 대주주의 증자나 자본유치 등 유동성 확보를 통한 재무건전성을 향상시켜 재기할 기회를 줄 방침이다.
여기에는 영업정지 기간 동안 검사 과정에서 추가 부실이 드러나지 않을 경우에 한해서다. 이들 저축은행의 매각 여부는 실사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최소 2개월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영업정지 조치를 받은 삼화저축은행이 1개월여만에 매각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된 것에 비하면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셈이다.
이 중 19일 영업정지된 4개 저축은행은 자체 부실이 아닌 '뱅크런' 원인이라는 점에서 매각 결정까지는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들 저축은행의 모체인 부산저축은행 그룹의 자금 사정을 감안하면 정상화는 희박하다는 게 금융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부산저축은행 그룹에 대해 아직 부실규모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지만 금감원 검사가 본격화되면 부실규모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들 저축은행의 부실화가 PF대출에 따른 것이어서 대주주가 자구책을 마련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지금까지 금융당국으로부터 영업정지 조치를 받아 자력 갱생한 곳은 광주 동양저축은행과 제주 미래저축은행 등 단 두 곳에 불과할 뿐 나머지는 주인이 바뀌거나 다른 곳에 흡수됐다.
금융권은 이를 감안할 때 이번에 영업정지를 당한 이들 6개 대부분의 저축은행이 제3자 매각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치고 있다.
▲5000만원 초과 예금 보호 어려울 듯?매각은 인수자가 자산과 부채를 떠안는 자산ㆍ부채 이전(P&A) 방식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하나은행이 충청은행을 인수한 방식이다.
제3자 매각이 결정될 경우 5000만원 초과 예금과 후순위 채권은 보호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삼화저축은행 매각 우선협상대상자인 우리금융도 5000만원 초과 예금과 후순위채권은 인수하지 않기로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영업정지 후에는 자체 정상화가 사실상 어렵다고 보면 된다"며 "우리금융이 삼화 인수 절차에 들어간 만큼, 나머지 저축은행의 운명은 하나금융이나 신한금융 등에 달렸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