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교과과정이 모두 이 IQ시험에 적합하게 개발되었기 때문에 학교 공부 잘하는 학생은 일반적으로 IQ도 높게 나온다. 연구원이나 교수가 되기 위해서는 정규교육과정에서 IQ점수가 잘 나오도록 훈련받은 우등생들이 적합한지 몰라도, 바둑선수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인기가수나 음악가 등 특수한 분야의 지적 능력은 IQ와 크게 상관이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워드 가드너는 다중지능이론을 제시했다.
지능은 특정 문화권이나 사회에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지능은 개인의 두뇌 능력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이 속한 문화와 개인이 각자 축적한 경험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가드너 박사는 먼저 '음악지능',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등 7가지 지능을 찾아내고, 여기에 '자연친화지능'과 '실존지능'을 더하여 9가지 지능이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가드너 박사는 사람들이 위의 9가지 지능을 조합한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어서, 그 프로파일이 필요한 분야에서 일을 하면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한다.
어떤 지능이 강한가에 따라 어울리는 직업도 달라질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언론인·강연자·교수 등은 언어지능에 크게 의존하는 반면, 과학자·기술자·금융인·회계사 등은 논리수학지능에 크게 의존한다. 또한 건축가·그래픽 디자이너·운전기사 등은 공간지능에 크게 의존하는 데 반해, 판매원·경영자·교사·상담사 등은 인간친화지능에 크게 의존한다. 그런가 하면 체육인·건축업자·배우 등은 신체운동지능에 크게 의존하고, 음악가는 음악지능에, 그리고 분류학자·생태학자·수의사 등은 자연친화 지능에 크게 의존한다.
이같이 다중지능이론은, 언어지능과 논리수학지능이 강한 사람에게만 유리하게 설계되어 있는 기존의 교육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가드너 박사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해 다양한 지능이 드러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개편하고 교육방식을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인들의 역량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본인과 가정,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하여 개인의 고유 지능프로파일을 찾아내서 그에 적합한 분야에서 공부하고 일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다중지능이론을 국가와 사회가 받아들이고 교육정책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정치인, 공무원, 교육자 등 모든 사람들의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
다중지능이론은 교육 이외에 기업에서도 효과적으로 인적자원을 관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경영자들이 병목, 보상, 촉매와 같은 다양한 지능의 상호작용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고 그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다중지능이론은 직원의 생산성과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다중지능이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좀 더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