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은 입법로비 의혹을 받으며, 이른바 ‘제2의 청목회 사건’으로, 저축은행은 서울 삼화저축을 시작으로 부실에 따른 구조조정 가능성으로, 위기감이 커지는 형국이다.
▲신협, 입법로비 의혹 강력 반발=우선, 대전에 있는 신협중앙회는 일부 임·직원들 명의로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에게 수천여만원의 후원금을 제공해 왔다는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사상 초유로 검찰의 압수수색까지 받을 정도다.
검찰은 신협중앙회도 직접 대출을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조합에서 올라오는 여유 자금과 상환 준비금 등을 대출자금으로 활용하도록 신협법 개정을 추진해왔다는 점에서, ‘대가성 후원금’ 여부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 14일 검찰 수사 소식이 공개되자, 신협중앙회는 술렁거렸다.
한 직원은 “의혹 때문에 검찰까지 나섰다는 것 자체가 충격”이라며 “사실 여부를 떠나 그동안 신협이 쌓아온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직원은 “소액 후원금제도가 도입된 후 매년 많은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후원해왔는데, (검찰이) 너무 확대 해석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신협중앙회는 곧바로 검찰 수사와 관련, 입장을 발표하며 반박하고 나섰다.
중앙회는 “신협의 후원은 친서민금융에 우호적인 의원들에게 소액후원금 제도를 활용해 개인 차원에서 후원한 순수한 소액기부활동”이라며 로비의혹을 부인했다.
그러면서, “신협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돼 있지만, 개정안은 쟁점이던 정부의 중앙회 지배구조 개편(중앙회장 비상임, 중앙회 전문이사수 확대)을 수용해 대부분 합의가 이뤄졌다”며 입법로비 의혹 무용론으로 맞섰다.
▲저축은행, 구조조정 위기감 고조=대형 저축은행인 서울 삼화저축은행이 6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지난해 7월 말 기준 삼화저축은행의 부채가 자산을 504억원 초과하고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42%로 지도기준에 미달했기 때문이다.
대전상호저축은행을 비롯해 미래, 서일, 세종, 아산, 오투, 토마토2, 한주 등 대전·충남지역 저축은행권 역시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현재 금융권 시장에서는 삼화저축은행과 함께 대전상호저축은행과 중앙부산 등 10곳의 저축은행이 경영정상화를 시급히 추진해야 할 대상으로 꼽히고 있다.
실제, 지난해 9월말 기준, 10개 저축은행의 BIS비율은 적기 시정조치 대상인 5%를 밑돌고, 이 중 3곳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삼화저축은행을 필두로, 금융당국의 강력한 조치가 계속되면, 저축은행의 가격이 크게 떨어져 구조조정은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금융위원회가 부실 저축은행 문제를 강조했고, 금융지주사들이 인수 의사를 밝히면서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며 “본격적인 구조조정이 시작되면 지역금융권에도 큰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