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 침체와 사업성 불투명 등에 대한 우려를 감안해 한국주택토지공사(LH)가 양보하며 협상안을 내걸었지만, 중도금을 납부하지 않는 등 미동도 하지 않고 있다.
결국, 이달말까지라는 최종 시한을 연장해주고,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계약 해지도 불사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사업 착수 여부에 관심에 쏠리고 있다.
23일 LH 세종시 본부 등에 따르면, 토지비 연체료 50% 할인과 잔금 납부 10개월 연장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사업 착수 타협안에 대해 민간건설사 10곳 중 9곳이 답신을 보내왔다. 답신을 보내지 않은 곳은 효성 1곳이다.
하지만, 부정적 답변이 주를 이뤘다. 건설사들은 토지비 연체 이자 100% 탕감과 토지비 인하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10개 업체가 미납한 연체이자는 지난해 12월 기준, 896억원이다.
대우건설이 178억원, 대림산업 146억원, 현대건설 116억원, 포스코건설 93억원, 롯데건설 82억원, 두산건설 75억원, 삼성물산 68억원, 극동건설 62억원, 금호산업 48억원, 효성 28억원 등이다.
민간사들이 미납한 토지대금은 4781억원이다.
대우건설이 916억원, 대림산업 756억원, 현대건설 611억원, 포스코건설 483억원, 롯데건설 424억원, 극동건설 413억원, 삼성물산 396억원, 두산건설 387억원, 금호산업 250억원, 효성 145억원 등이다.
무엇보다 건설사들이 요구하는 건 토지비 인하다.
첫마을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3.3㎡당 640만원임을 감안할 때 토지비를 인하하지 않으면 분양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어 사업성이 불투명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민간건설사가 분양받은 공동주택용지의 3.3㎡당 212만 8500~376만 2000원이다. 용적률은 130~175%라는 점에서, 토지비는 140만~230만원 수준이다. 이렇게 되면, 민간건설사의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가 첫마을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보다 훨씬 비쌀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민간사 관계자는 “첫마을 아파트와 비교했을 때, 우리의 분양가가 120만원 정도 비싸고, 그만큼 분양률이 떨어질 수 있어 우리로선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LH의 입장은 다르다. 세종시 본부 관계자는 “그동안 전국 어느 지역에서나 LH와 민간사가 공급하는 아파트의 분양가는 대략 150만원 정도 차이가 났다”며 “건설사들의 요구는 무리한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 착수 의지가 없는 건설사들에 대해 계약 해지 절차가 거론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LH 관계자는 “이달까지 사업 착수와 계약 여부 등에 대한 최종 답변을 기다린 후 결정할 것”이라며 “세종시 건설 계획에 맞춰 주택 보급을 해야 하는 만큼, 의지가 없는 건설사를 무작정 기다릴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