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황금박쥐 서산서 '집단 월동'

  • 사회/교육
  • 미담

멸종위기 황금박쥐 서산서 '집단 월동'

가야산 폐광 41마리 발견… 보호대책 시급

  • 승인 2010-12-12 15:34
  • 신문게재 2010-12-13 22면
  • 서산=임붕순 기자서산=임붕순 기자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제452호인 황금박쥐(학명:붉은박쥐 Myotis formous, 천연기념물 452호,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의 국내 최대월동지가 발견됐다.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제452호인 황금박쥐가 서산시 운산면 폐광에서 대거 발견됐다.<사진 제공=개심사 중현스님>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천연기념물 제452호인 황금박쥐가 서산시 운산면 폐광에서 대거 발견됐다.<사진 제공=개심사 중현스님>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용현자연휴양림 내 세 갈래로 나눠진 폐광의 한 동굴에서 황금박쥐 12마리가 200여 마리의 관박쥐와 더불어 동굴 곳곳에서 월동중인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지난 11월 이 곳을 처음 발견한 산림청 국립용현자연휴양림 김용규(47) 팀장은 동굴 전체에서 41마리의 황금박쥐를 확인하고,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가야산 일대는 이곳과 비슷한 폐광들이 많아(서산 15개 홍성 33개,예산 15개) 월동하고 있는 황금박쥐의 개체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립충남발전연구원 정옥식(40)생태학 박사는 “조만간 폐광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황금박쥐가 서식할 정도로 청정한 가야산의 자연환경이 꼭 보존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황금박쥐는 국내에 300여 마리 미만이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멸종위기종으로 정확한 서식생태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천연기념물센터의 연구에 의하면 황금박쥐의 동면시 이들의 체온이 섭씨 11.1~13.3도 정도로 평균온도가 섭씨 11.2도 정도로 유지되는 동굴이 이들의 적당한 월동장소로 보고 있다.

그러나 황금박쥐가 월동하는 이 폐광 주변에 가야산 산책로 토목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내포문화숲길 집행위원장인 중현(51) 스님은 “가야산은 곳곳에 불교문화재와 생명문화재가 존재하는 보물덩어리”라며 불필요한 도로의 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산림청은 “관할지역내에서 발견된 황금박쥐에 깊은 관심을 갖고, 이들이 안전하게 월동할 수 있도록 보호감시는 물론, 이들이 사계절 서식하도록 주변 환경을 지속적으로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서산=임붕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결국 '결별'…대전 둔산2지구 통합 재건축 추진준비위 두 곳 출범
  2. '세종시=행정수도' 명운 달린 대선...지방의 대통령 어디 없나
  3. 충남경찰청, 교통 무질서 행위 단속… 2시간 만에 113건 적발
  4.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남다른 한국 사랑, 대전·충남에 깊은 인상
  5. '사랑나눔 문화확산' 중기중앙회 대전서 러블리콘서트
  1.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첫 한국인 교황 탄생 가능할까 "유흥식 추기경 유력 후보"
  2. 충남에 '철도IT 운영센터' 생긴다… 2027년 2월 준공
  3. 충남도,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예타통과 위한 본격 대응나서
  4.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5. 28년간 제자 가르쳐온 퇴직교사, 직접 제작한 교재 23점 충남교육청으로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 정상궤도 진입 가능할까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 정상궤도 진입 가능할까

수년째 출발선에 서지 못하고 있는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신탄진~계룡) 사업이 정상 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공사비 증가로 사업이 공회전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정부가 협의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24일 대전시와 국가철도공단 등에 따르면 국가철도공단은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과 관련해 후속 공정을 추가한 총사업비를 두고 기재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은 당초 2023년 말 착공 예정이었으나, 지장물 이설 공사비 증가에 설계적정성 검토를 다시 받으면서 사업 기간이 늘어졌다. 여기에 최근에 신규..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세종 아파트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1년 5개월여 동안 30~40%가량 하락했던 세종시 집값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이전 수준까지 회복할지 주목된다. 여기에 세종시와 인접한 대전 등 지역이 '풍선효과' 수혜를 받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2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4월 셋째 주(21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23% 상승해 전주(0.04%) 대비 무려 6배 가까운 급등세를 보였다. 2023년 11월 20일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세종 집값은 지난주 70주..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8년 만에 괘불 국보 추가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8년 만에 괘불 국보 추가

우리나라 괘불도 양식의 시초로 평가받는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가 국보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불화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괘불도(掛佛圖)'는 사찰에서 야외 의식을 할 때 거는 대형 불화로, 조선 후기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됐다. 현재 전국에 약 120여 점이 전하며, 이 가운데 국보 7점, 보물 55점이 포함돼 있다. 이번 국보 지정은 1997년 7점의 괘불이 동시에 지정된 이후 약 30년 만이다. 국가유산청은 "화기(畵記) 등 기록을 통해 제작자와 제작..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 유류세 인하 폭 축소에 5월부터 기름값 오름세

  • ‘프란치스코 교황이 탑승했던 카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탑승했던 카트입니다’

  • 옷가게는 벌써 여름준비 옷가게는 벌써 여름준비

  •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