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아파트 입주율 등을 확인할 때 사업시행자의 말만 믿지 말고 인근 부동산, 지자체 등에 중복확인 할 것을 권하고 있다.
1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건설사들이 미분양만큼 골머리를 않는 것이 입주율이다. 이에 따라 사업시행자는 입주 시점에 맞춰 다양한 마케팅 전략으로 입주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또 분양 초장기 미분양물량을 털어내고자 직원 분양, 하도급업체 대물물량 등을 쏟아내며 처리하는 사례도 허다하다.
이럴 경우 직원분양, 하도급 대물물량 등 어차피 판매한 경우이기 때문에 입주대상으로 잡아 입주율에 포함시키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입주율은 실제 아파트에 입주한 입주율과 차이를 보이지만 소비자들이 확인하기는 사실상 쉽지 않다.
입주 시점에 맞춰 이러한 물량 등이 시장에 쏟아지며 소비자들은 사업시행자의 입주율만 믿고 계약하는 사례도 있다.
이 경우 매매, 전세 소비자들은 건설사들의 말만 덜컥 믿고 계약했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 이런 물량 가운데는 계약금만 자기 돈으로 납입하고 중도금은 대출, 잔금은 소비자의 전세보증금으로 치르는 내 집 아닌 내 집들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전세 소비자들은 과도한 대출 등으로 불안감에 전전긍긍할 수밖에 없게 된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관할동사무소, 지자체 주택관련부서에서 관내의 아파트 입주율 등을 파악하고 있다”며 “특히 매매, 전세계약 시 사업시행사들의 말만 신뢰하지 말고 꼭 여러 군데 확인한 후 결정을 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극심한 전세난 속에서 전세수요가 꾸준하며 매매로 돌아선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며 “하지만 집을 선택할 시에는 중복확인을 거쳐야 한다. 과도한 대출은 자칫 경매로 넘어갈 때 소비자들의 보증금이 위험해 질 수도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조성수 기자 joseongsu@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