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400여개에 달하는 산업단지 입주업체와 주변지역 공장 및 기업들은 대부분이 전통제조업종으로 본격적인 재생사업이 시작되면 이전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실제 산업단지 입주업체 절반가량이 이전할 수도 있는 상황으로, 기업들은 '우리 회사도 이사를 가야 하나'등의 궁금증이 커져만 가고 있다.
또 중장비를 갖추고 있는 제조업체들은 대체부지를 비롯해 기업 이전비용 등에 대한 부담도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전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의 고민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다.
우선은 제조업체들이 각종 설비투자에 들인 비용 보상문제다.
또 전통 제조업 등 장치산업분야 업체들의 막대한 이전비용 등이다.
대체산단 조성이라는 부담을 안고 있는 대전시가 기업들의 이러한 부분까지 보상이 가능한지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업들은 금전적인 손해를 보면서 공장을 이전할 수는 없다는 목소리다.
산단 내 제조업체 한 관계자는 “최근 몇 년 동안 기계설비 등 꾸준하게 투자를 해 온 상태로 만일 공장이 이전하게 될 경우 회사에는 손실이 막대한 상황”이라며 “거액의 비용을 들여 현재 공장에 투자한 비용까지 대전시에서 보상이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걱정했다.
대전시 대덕특구과 관계자는 “현재 대전산단 재생계획이 최종 확정된 것은 없다. 이번달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올해 연말은 가야 기업 이전과 관련된 구체적인 계획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면서 “기업 이전에 대해서는 강제성을 띠지 않도록 하고, 기업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올해 산단 재생계획 수립을 마무리하고, 내년에 재생사업 시행계획을 거쳐,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재정비(재생)사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재생사업이 시작되면 전통 제조업의 경우 지식기반 및 정보통신 위주의 첨단산업으로 전환된다. /박전규 기자 jkpar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