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과 마찬가지로 글로벌 경기둔화와 대외 불확실성이 이유다.
금융위기 때 푼 과잉 유동성을 거둬 들이는 출구전략보다 당분간 주요국들의 경제상황을 지켜보자는 쪽에 무게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하반기 물가상승 압력과 초저금리에 대한 부작용을 우려해 기준금리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남은 3개월 이내 추가 인상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리 동결, 대외 불확실성 때문=기준금리 동결의 이유는 미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세 둔화 가능성, 유럽국가 재정문제 등 외부의 동반 악재가 자칫 국내 경기의 발목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한은의 설명이다.
최근 미국은 주택시장과 고용 등을 중심으로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유로존의 재정위기 우려도 부각되는 상황이다. 일본 역시 엔화가 고공행진을 계속하며 수출 감소세가 지속하고 있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는 비교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수출의존도가 높아 대외변수에 민감할 수밖에 없어 금리 인상에 적잖은 부담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 각국에서 경기부양책들이 나오는 상황이니 좀 더 지켜보고 나서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연내 추가 여부 관심=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했던 만큼, 이번 달에는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전망이 우세했다. 수출 호조와 소비증가, 제조업 성장, 고용사정 개선 등 국내 경기의 성장세가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금통위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5%대였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2월 2.0%까지 낮췄고, 16개월 동안 묶어두다 지난 7월 2.25%로 인상했다.
10~12월 3개월 남은 만큼, 금통위가 언제 인상카드를 꺼낼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대외 불확실성이 단기간 해소되기 어렵고 우리 경제 역시 성장세가 둔화할 조짐을 보여 연내 인상이 어렵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없지 않다.
이와 관련, 김중수 한은 총재는 이날, “세계 국가들이 위기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고 우리 경기회복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확신이 든다면 그것(4%대)이 맞지만 빠른 시간 내 그 수준에 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