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서 응답 시민들은 대전시 일자리 창출에 가장 효과적인 사업으로, 대기업 유치'(35.3%)를 희망했다. 다음으로 '중소기업 지원'(21.1%), 'IT·문화콘텐츠 등 지식기반 산업 육성'(11.7%) 등의 응답 분포를 보였다.
반면, 효과적이지 않은 사업은 '회의ㆍ전시산업 육성'(15.9%), '대기업 유치'(13.6%), '관광산업 개발'(11.1%), '공공근로 확대'(10.0%) 등을 지적했다. 또 대전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실현 가능한 사업으로는 '중소기업 지원'(27.9%), '대기업 유치'(16.1%), 'IT·문화콘텐츠 등 지식기반 산업 육성'(13.7%) 등을, 실현 가능하지 않은 사업으로는 '대기업 유치'(30.4%), '관광산업 개발'(12.6%) 등을 각각 꼽았다.
즉, 많은 인력을 한꺼번에 고용할 수 있는 대기업이 유치되면 일자리 증가에는 효과적이겠지만, 공장부지 가격 등의 측면을 고려할 때 대기업 유치가 쉽지 않다는 것이 시민들의 생각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세종시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전시민의 40.3%가 기여한다고 응답한 것과 관련해 비교해 볼 수 있다. 응답 시민들은 일자리 창출에는 효과적이나 유치하기에는 어려운 대기업이 세종시에 입주한다면 대전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전고용노동청에 따르면 올해 대전시 신규 구인인원 수는 전년 대비 35.3%가 증가했다. 하지만 구직난은 해소되지 않고 있어 대전시는 취업난과 고용난의 이중고를 겪고 있다. 대전시에는 많은 대학들이 밀집되어 있지만 대졸 취업희망자들이 선호하는 대기업이 없어 구직난이 지속되고, 대전시 고용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에서는 구인난을 겪고 있다.
대전시에 구인난과 구직난이 공존하는 모순이 지속될 경우, 청년들은 취업을 위해 타지역으로 떠나고, 기업은 인력 수급이 용이한 지역으로 이주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
대전의 한 기업체 이사는 “대전시가 장기적이고 계속적인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대전시 기업에서 개발한 우수 상품이 자금 문제로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 대전시에서 개발자금을 지원해 생산과 마케팅(인력 채용 포함) 문제를 해결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한 지역전문가는 “다양한 경로를 통한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를 꾸준히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교통접근성이 부족한 중소기업이나 산업단지의 근로자들을 위한 통근지원책과 같은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구인·구직난을 해소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지연·정서영 여론조사 전문기자 jyp20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