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2 지방선거 이후 트위터 열풍이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자치단체장을 비롯해 기업 CEO 등 각계각층의 인사들의 트위터리안 대열 합류가 한창이다.
염홍철 대전시장과 안희정 충남지사를 필두로 지역 트위터 붐은 열기를 뿜고 있다. 여기에 각계 기관장을 비롯해 대덕특구 기관, 업체 등에서 홍보를 위한 별도 법인 트위터 계정을 얻어 운영중이다.
그러나 트위터가 조직 안팎의 소통 및 지역민 또는 고객과의 대화창구가 아닌, 천덕꾸러기로 전락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한 지역 CEO의 경우,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는 경영인이라는 이미지를 표출하기 위해 트위터에 가입했다. 하지만 인터넷 소통이 처음인지라 활발한 활동을 하지 않아 팔로어를 끌어들이지 못해 하급직원에게 관리를 맡겼다.
한 기관장은 해당 기관내에서 얼마 안되는 트위터리안이다. 트위터를 통해 직원과의 소통을 할 수 있다는 기대와 달리, 대부분의 직원은 트위터 이용과는 거리가 멀어 해당 기관장은 외로운 트위터리안으로 전락해버렸다.
자치단체장들 역시 트위터로 인한 고민에 얼굴이 어둡다. 트위터를 통한 공무원의 소통 및 행정의 다원화를 외치곤 있지만 이제는 사적인 공간이었던 트위터가 공공성을 띠게 돼 부담을 느끼고 있다.
4개강 사업 등 예민한 정책에 대한 이견이 트위터리안들에게 어떻게 비춰질 지 또는 정부는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 지를 걱정해야 할 때가 됐다는 게 한 정치인의 귀띔이다.
조신형 배재대 객원 교수는 “이미 전세계적으로 소통의 힘을 발휘하고 있는 트위터가 당초 예상과는 달리, 부작용도 함께 안고 있다”면서 “트위터 역시 단순한 사적 공간만은 아닌만큼 글을 올리기 전에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경태 기자 79ykt@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