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금리를 낮춘 캐피털 업계가 그만큼 심사를 까다롭게 해서 저신용자들을 고금리의 사채시장으로 내몰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일 캐피털 업계 등에 따르면, 현대캐피탈은 1일부터 신용대출 최고 금리를 연 39.99%에서 34.99%로 5%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최고 3.5%에 달하는 취급수수료도 없애기로 했다.
앞서 하나금융지주 계열사인 하나캐피탈도 신용대출 금리를 기존 36.9%에서 29%로 7.9%포인트 내렸다.
롯데캐피탈도 신용대출 최고 금리를 연 39.99%에서 연 34.90%로 5%포인트 인하했다. 일부 상품에 적용하고 있던 취급수수료(최고 2%)도 폐지한다.
캐피털 업계 대표주자인 현대캐피탈과 하나금융지주 계열인 하나캐피탈, 롯데캐피탈의 금리 인하는 다른 캐피털 업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제2금융권인 캐피털 업계의 이 같은 움직임은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캐피털사의 고금리 문제를 지적하고 금융당국이 전면 실태조사 방침을 밝히면서 시작됐다.
또 금융당국의 기준 금리 인하 이후 주요 시중은행들이 금리를 내린데다, 미소금융에 이어 최근 서민 전용 대출상품인 햇살론이 개시된 후 5일간, 2940명이 233억 5000만원을 대출받는 등 낮은 금리 분위기도 한 몫 했다고 할 수 있다.
캐피털업계의 금리 인하는 그동안 서민들을 상대로 돈을 빌려주고 지나치게 비싼 이자를 받아왔다는 정부의 주장을 업계가 스스로 인정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하지만, 캐피털 업계의 금리 인하를 반기면서도, 일부에서는 예상치않은 제3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시장 원리가 인위적으로 변질될 경우 시장 질서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출 금리는 조달비용 외에 대출자 신용도를 고려한 뒤 이익을 덧붙여 산출된다. 이 같은 시장 원리에 따라 금리가 내려가면 대출업체들의 이익은 감소할 수밖에 없고, 채무불이행을 염려해 신용심사를 강화할 수밖에 없다.
결국, 낮은 금리 혜택은 소수 서민들이 소액 대출을 받는 경우에 한정되고, 저신용자 대부분이 2금융권보다 금리가 훨씬 높은 고금리 대부업체로 내몰리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2금융권 관계자는 “이자율을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금리를 인하해도 고객들이 불리한 조건의 사금융권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금리체계를 운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