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태 유통·기업·청사팀 |
트위터는 지난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불법 선거 여부로 공방의 대상에 오르기도 했으며 세계 1위 인터넷기업인 구글은 최근 정치 활동을 위한 전용 서비스 툴을 공개해 국내에도 적용될 지 관심이 모인다.
아이폰은 휴대하는 컴퓨터로 정치인들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평상시 접근율을 높였다. 페이스북 또한 트위터와 비슷한 개념으로 친구를 맺어 일상의 얘기를 사진과 함께 풀어내 정치인들의 가입이 늘고 있다. 그러나 정치인들의 눈에는 TGIF가 세력을 과시하려는 도구로만 비춰지고 있다.
'팔로어(트위터)'라고 하는 추종자들이 얼마나 되느냐가 정치력과 비례되는 것으로 착각해 사이버 인맥을 늘리기에 바쁘다.
한 지역 정치인은 “싸이월드에서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옮겨왔는데 다음엔 무엇으로 옮겨가야 할 지 정치인생이 컴퓨터 앞에서 끝나겠다”며 “소통 정치인의 대명사인 것 마냥 트위터를 꽤나 한다고 치켜세워준 기사가 솔직히 민망하니 보도를 자제해달라”고 부탁할 정도다.
정치인들이 인터넷 상에서 나누는 아마추어식 소통은 준비되지 않은 '오바마 흉내내기'라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정치인이 자신을 지지하는 세력의 규모에 따라 힘을 얻는 게 틀린 얘기는 아니다. IT시대에서 네티즌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렇지만 겉모습만 번지르르한 말은 소통이 아니라 메아리없는 외침일 뿐이다.
당선의 기쁨을 자축하기 위해 새로운 소셜미디어 앞에서 밤을 세우고 있다면 이제는 본연의 임무가 무엇인지부터 고민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국민이 주말에 발뻗고 안심할 수 있도록 소통 정치의 진면목을 보여주길 기대해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