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각 자치구에 따르면 도심 외곽지역에는 별도의 지주를 세우지 않고 한전 전봇대에 보안등을 매달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이러한 형태의 보안등은 대전에만 족히 1000여 개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전봇대 보안등은 옥외 설비인 관계로 강우, 직사광선 등 날씨 변화에 따라 안전성이 크게 위협받을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하다.
실제 지난 3일 화재가 발생해 사측 추산 10억 원(소방서 추산 3억 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난 서구 평촌동 모 창고 앞 전봇대 보안등을 확인한 결과 등으로 이어지는 전선 일부가 외부로 고스란히 노출돼 있었다.
다른 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전선 외부 노출은 물론 전봇대에 매달려 있는 전력공급선 외에 각종 케이블선, 전화선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합선 위험도 도사리고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 대전·충남본부 관계자는 “옥외 전기설비의 경우 비를 맞으면 전선 안에 물이 스며들 수도 있고 직사광선을 많이 받게 되면서 전선이 팽창·수축을 반복, 노후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민간 전기설비 업체 관계자도 “장마철에는 보안등 안정기에 물이 들어가거나 전선 피복이 벗겨지는 등 가능성이 높아 누전의 위험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사정이 이렇지만 전봇대 보안등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전봇대 보안등은 각 구청이 한전의 안전성 검토를 거쳐 설치승인을 얻으면 설치할 수 있고 관리는 지자체가 맡는다. 하지만 담당 공무원이 1, 2명에 불과하고 보안등 설치 지역이 드문드문 떨어져 있기 때문에 민원 발생 시 점검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모 자치구 관계자는 “일제점검 등을 통해 안전관리를 하고 있지만, 인력부족 때문에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며 “장마철 안전사고를 대비해 더욱 안전관리에 더욱 신경을 쓰겠다”고 말했다. /강제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