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전문가들은 지자체 차원의 전문적 연구를 통해 중장기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충남발전연구원 윤정미 책임연구원과 공주대 장동호 교수는 21일 발간한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이 충남 연안역에 미치는 영향'(충남리포트 제39호)을 통해 이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윤 책임연구원 등은 “충남지역 해안선의 총길이는 760.9㎢로 해수면이 0.2m 상승할 경우 7.5㎢ 줄어든 753.4㎢가 되고, 0.4m 상승할 대는 반대로 766.7㎢, 0.5m 상승시에는 755.8㎢, 최대 2.0m 상승시엔 849.7㎢로 오히려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갯벌의 경우 천수만과 장항, 가로림만, 보령이 가장 많은 침수피해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상승수위가 올라 갈수록 그 피해 범위는 비인만, 남면 갯벌 등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윤 책임연구원 등은 “이미 서천 송림리, 서천 해창리, 태안 천리포, 대산 독곶리 등은 해수에 의한 침식이 아주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방조제 건설 및 모래포집기 등을 설치해 그 피해를 줄여보려 했으나 해안 침식은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침수 면적은 0.2m 상승에 29.0㎢, 0.4m 상승에 37.5㎢, 0.5m 상승에 41.6㎢, 0.6m 상승에 45.5㎢, 1.0m 상승에 60.5㎢, 2.0m 상승에 106.1㎢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0.2m와 0.4m 상승에선 침수면적이 호소, 습지, 시가화 지역 순으로, 최대 2.0m 상승에선 호소, 논, 습지 순으로 침수피해를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 책임연구원 등은 “이 결과는 충남의 지형이 저구릉지이면서 전 연안지역에 걸쳐 행해진 간척사업으로 만들어전 인공호소 및 농경지의 재침수와 해안에 위치한 각종 위락시설의 침수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현재 지자체 차원의 기후변화대응 사전 연구가 전무한 상태”라며 “농수산업·생태계·자연재해·사회경제 분야 취약성 평가, GIS 기반 통합 충남 연안관리 시스템 등 대응체제 구축으로 충남 해안지역의 현황을 정밀하게 파악하는 연구 뿐만 아니라 과거의 관련자료 등 종합적 DB를 구축, 중장기적 대책을 마련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두선 기자 cds081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