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지역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건설사들은 수주했던 도시정비사업지의 조합 운영비 등을 대폭 삭감하거나, 시공사로 이름만 걸어놓고 있는 사업장이 태반이다.
'계륵'이란 고사성어처럼, 건설사에겐 도시정비사업지가 사업을 추진하기는 부담되고 그냥 포기하기도 아까운 사업장이 되어버리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경기침체로 지방사업지가 찬밥신세로 전락했고, 그나마 사업성이 보여 수주했던 사업지는 섣불리 포기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실제, A사업장은 건설사가 사업계획 등 상당히 구체적으로 밑그림을 그려놓고 수주했지만 현재는 이름만 걸어놓은 상태다.
조합 측도 시공사의 소극적 태도에 불만이 많지만 불투명한 경기, 자금문제 등 쉽게 사업 진척도 어려운 형편이다.
지역의 B사업지도 공사를 수주했던 건설사가 운영비를 대폭 삭감해 조합의 직원도 줄어들고 사무실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상태다.
그동안 조합과 조합원들에게 구체적 사업 밑그림을 제시하며 홍보활동을 펼쳤지만 현재는 건설사 이름만 걸어 놓았다.
이같은 현실을 반영하듯, 대전시도 과다하게 지정했던 202개의 정비 예정구역을 179개구역으로 조정, 하반기 확정할 방침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사업지와 비교해 지방의 사업지는 사업성이 많이 떨어진다”며 “경기가 좋을때 실적 등 이유로 수주해놓았지만 사업성이 보이지 않아 조합운영비도 대폭 삭감하고 이름만 걸어놓거나 포기하고 싶은 사업지가 많다”고 밝혔다. /조성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