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통 방제를 자랑하는 축산전문 정부기관에서 발생한 것도 문제지만, 감염경로가 지금까지 파악되지 않는다는 것은 출입자나 차량 관리 등 역학조사를 위한 기본적인 시스템 운영에도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2차 구제역이 일반 농가에 비해 방역의 중요성 등을 더 잘 알고 있는 인공수정사의 농가에서 발생하면서 방역 안전지대가 없다는 공포감만 확산돼 감염경로 파악을 통한 재발 방지 등이 절실하지만 역학조사는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역학조사팀은 발생 직후부터 지금까지 청양에 상주하며 축산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역학조사팀은 축산기술연구소가 2중, 3중의 방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도 구제역이 발생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축산기술연구소의 경우 정문 출입구 및 우사와 돈사 앞에 각각 차량 소독 시설을 구비하는 등 2중 방역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구제역이 발생한 돈사의 경우 우사에는 없는 대인방역실까지 갖췄다.
역학조사팀은 이런 점을 감안해 축산기술연구소의 구제역은 사람을 통해 전파됐을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바이러스가 붙어 있던 사료가 돼지들에게 공급됐을 가능성도 있으나 이 조차도 결국 사람을 통해 이뤄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더 그렇다.
이에 따라 역학조사팀은 구제역 잠복기간(2일~14일)을 전후로 축산기술연구소의 출입 차량 및 출입자에 대한 관련 일지 등 서류와 관계자들의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역추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2차 구제역이 발생한 청양군 목면 대평리 인공수정사 농가에 대한 역학조사도 벌이고 있으나 마찬가지로 주목할 만한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농장주가 지난달 29일~30일까지 인공수정 등을 위해 돌아다닌 19곳 농가의 한우에 대한 혈청검사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오면서 감염경로 추적은 더 힘들어진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일반 농가보다 방역시스템이 더 안전하다는 공공기관과 인공수정사의 농가 등에 대한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을 경우 향후 구제역과 관련한 공포감은 확산되면 확산됐지, 쉽게 누그러지지 않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도 관계자는 “역학조사팀은 충남도에 알리지 않은 채 단독으로 활동하고 있다”며 “어디까지 어떻게 진행됐는지는 모르지만, 아직 감염경로는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최두선 기자 cds081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