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 논의가 지연되면서 각종개발사업, 부동산시장, 기업유치 등 지역경제가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6.2 지방선거, 천안함 침몰사건 등 대내외적으로 악재까지 겹치면서 세종시 문제는 관심에서 벗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세종시 처리문제가 지연되면서 지역경제는 물론 국가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지역경제와 더 나아가 국가경제를 위해서 각계 계층이 힘을 모아 조속한 결론을 도출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비등하다.
본보는 이에 따라 ‘세종시 논의지연, 충청경제가 흔들린다’ 시리즈 마지막으로 지역 경제계 인사들의 의견을 들어보았다. <편집자 주>
▲ 송인섭 대전상공회의소 회장 = 세계적 명품도시 건설은 우리 스스로 만들어가야 한다.
수도권 과밀해소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지난 7년간 5조원이 넘는 공사비가 투입돼 세계적 모범도시로 탈바꿈하는 ‘세종시 건설’이 원안, 수정안 대립으로 지역민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더욱이 국론분열과 지역간 갈등으로 확산되고 있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세종시 혼란은 혁신적인 연구개발로 국가 경제를 견인해야 할 기업들에 적극적인 투자를 저해하는 결과로 국가경쟁력도 약화시킬 수 있다.
세종시 발전방안은 인구 50만명의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정부부처 이원화로 인한 행정 비효율 방지하고 통일국가의 모습을 나타내는 미래지향적인 정책이다.
또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 인프라를 보유한 대덕특구와 인접한 세종시에 산학연이 연계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조성되면 지역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대규모 혁신클러스터로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따라서 세종시가 국가산업발전을 선도하고 명품도시로 거듭나도록 갈등을 씻어내고 지역민 모두가 충청의 힘찬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 김영태 대전 CEO아카데미 대표 = 세종시 수정안 논의가 지지부진 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세종시는 지역경제, 국가경제와 더불어 국격을 높이는 방안으로 나가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세종시가 동북아의 중소기업 비즈니스 벨트로 진행되길 바란다.
경제와 고용창출 효과는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역할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 현재 정부의 제1의 정책도 일자리 창출일 것이다.
세종시에 외국의 경쟁력 있는 기업을 유치하거나 중소기업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기본 인프라를 갖춰나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
경제는 단순히 경제논리로만 가지는 않는다. 정치, 사회, 문화와 함께 가면서 경제가 힘을 받고 탄력을 받아 성장할 수 있게 된다.
수도권, 지방 등 차별화된 지역의 특성을 살려 진정 지역경제를 넘어서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나가길 기대한다.
▲ 성일용 대한건설협회 충남도회 사무처장 = 세종시 수정안 논의가 지연되면서 지역 경제계 곳곳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에 따라 지역에서 추진되는 각종 개발사업에 차질을 빚음은 물론 토지분양이 되지 않는 등 막대한 영향을 받고 있다.
정부가 원안, 수정안이든 조속한 처리가 실질적으로 지역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건설업계도 세종시 수정안 논의 결과가 마무리돼야 공사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질 것이다.
현재는 대형건설사 위주로 공정이 이뤄지고 있지만 사업이 진척될수록 지역의 중소건설업계도 참여할 수 있는 공사발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지역 중소건설업계가 일할 수 있는 환경은 결과적으로 지역경제에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할 수 있게 된다. 건설분야는 지역경제활성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의 소모적 논쟁에서 벗어나 실질적으로 지역경제, 국가경제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찾아 조속한 시일내 결정되길 바란다.
▲ 박진호 대전개발위원회 사무처장 = 얼마 전 세종시 원안과 수정 논란으로 정치적인 국내전쟁이 몰아쳤으나 천안함 사태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세종시 원안, 수정안 모두 우리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세종시 기회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면 지역의 인적ㆍ물적 자원을 빼앗아가는 위협요인으로 등장할 수도 있다는 것을 지역민들도 알아야 한다.
또 세계화·지방화 시대를 맞아 국가ㆍ지역간 생존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어 시민의 공동체 역량을 바탕으로 자족경제를 키우는 것은 지방화 시대의 명제라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그러나 지방화 시대라고는 하지만 재정자립도가 취약한 지방현실을 볼 때 지방에 당면한 각종 현안을 지자체 스스로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가 없는 것도 현실이다.
그래서 지역경제가 살아나려면 국가의 힘을 빌려야 한다. 대전이란 소비도시는 더욱 국가의 힘을 빌려야 한다.
정치적으로 세종시가 원안, 수정안이든 지역경제에 어떡하면 보탬이 될 것인가를 더 고민해야 할 시점인 것 같다. /박태구ㆍ조성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