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인천 강화도에 이어 경기 김포에 구제역이 발생하자 지난 21일 경기도와 인접해 있는 당진의 송악·당진·삽교나들목, 홍성군의 홍성·광천나들목에 방역초소를 설치했다.
이어 충주에서 구제역 양성 반응이 나오자 22일에는 천안 4곳, 아산 1곳, 연기 1곳, 청양 5곳에 방역초소를 추가 설치하고 23일까지 보령 7곳, 금산 2곳, 서산 2곳, 예산 3곳에 방역초소를 설치해 도내에 모두 30개의 방역초소를 운영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같은 소독장치가 구제역 바이러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효과는 크지 않다. 구제역 바이러스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차량이나 사람을 대상으로 소독약에 충분하게 노출시켜야 하는데 대부분 운전자들이 이를 무시하기 때문이다. 이마저도 도내에서 장치를 설치할 방역업체는 3곳밖에 없어 시설 설치도 신속하게 이뤄질 수 없는 상황이다.
도 관계자는 “구제역 발병 원인을 알면 이에 대한 방역대책을 마련할텐데 현재까지 2차 감염 원인 등은 역학조사를 통해 밝혀졌지만 최초 감염 원인은 밝혀진 바가 없다”며 “사람이나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진 구제역을 차단하기 위해 현재로서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방역활동을 실시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구제역 발생시 살처분 매몰 처리에 대한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 구제역이 발생할 경우 반경 3km내의 모든 우제류는 살처분되지만 매장된 땅의 토양·지하수오염 등 2차 오염에 대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또 대규모 살처분이 이뤄지다보니 매몰 부지가 부족해 감염된 가축이 방치되는 경우도 있다.
실제 충주에서 발생한 구제역의 경우 농장내 매몰 부지가 없어 인근 토지를 물색 중이지만 협의가 쉽지 않아 실제 살처분이 이뤄지기까지는 최소 일주일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박종수 충남대 교수는 “구제역이나 돼지의 열병, 가금인플루엔자 등 제1종 가축전염병의 전파 경로가 다양해져 방역활동이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국경 방역 강화 등 그동안의 방역체계를 개선하는 노력과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시우 기자 jabdaj@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